스카이프 사용법 쉬운 방법

스카이프의 가장 큰 장점은 국내에서 뿐아니라 해외에서도 인터넷만 연결되어있다면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스마트폰에도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와 상관없이 어떤 기기에서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음성뿐 아니라 영상 무료 통화까지 할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국제전화를 거는 비용부담도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로 전화거는데에는 이렇게 유용한 프로그램도 드문데요. 다만,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어려워하시는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오늘 설명드릴 스카이프 사용법만 익히시면 초보자도 어렵지않게 사용하실 수 있을꺼에요.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나 구글등의 포털에서 스카이프로 검색하신 뒤에 공식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스카이프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공식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먼저 필요한 것이 스카이프(Skype) 프로그램인데요. 프로그램을 설치를 위해서 'Skype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는 어떤 기기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것인지 선택해야 합니다. 우리는 컴퓨터를 통해서 실습을 할 것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클릭합니다.

'컴퓨터'를 누르면 운영체제별로 윈도우(Windows) 데스크톱용과 맥(MAC), 리눅스(Linux)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수 있는데요. 여기에서는 윈도우용을 사용하겠습니다.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 그림의 점선 박스 부분을 클릭합니다.

Windows 데스크톱용 Skype의 세부적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무료 영상 통화는 물론 메신저를 통해서 대화를 하고 사진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렴한 요금으로 휴대폰과 유선전화에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내려받습니다.

다음과 같이 파일이 내려받아지면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하기 팝업이 뜨면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나타납니다. 디폴트인 상태인 한국어로 둔 상태에서 '동의합니다-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프로그램의 설치 경로를 변경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추가 옵션'을 눌러서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제 프로그램이 잘 설치되고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Skype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이 가능한데요 만약 스카이프 전용 계정을 만들고 싶다면 '계정 만들기'로 신규계정을 생성한 뒤에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계정이 없으신 분들을 위해서 신규 계정을 생성하는 것으로 실습하도록 하겠습니다.

계정 만들기

Skype 가입시에는 반드시 전화번호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다음과 같이 '전자 메일을 대신 사용'을 눌러주세요.

신규 생성할 메일주소와 암호를 넣고 '동의하고 계정만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세부정보를 추가하는 화면입니다. 성과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국가/지역은 한국을 선택하고 생년월일을 입력한 뒤에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이제 입력한 이메일로 인증을 한 뒤에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스카이프 사용법, 사운드와 영상 확인하기

이제 두 가지 정도의 설정만하면 바로 Skype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스카이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마이크와 웹캠이 필요합니다.

근래 출시되는 대부분의 노트북에는 마이크와 카메라가 내장되어있으니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혹시 웹캠이 없는 데스크톱 컴퓨터를 사용해도 음성통화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사운드와 영상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차례입니다. 먼저 스피커 테스트를 위해서 아래 네모 박스부분을 눌러주세요. 소리가 제대로 들리면 정상입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카메라의 영상이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이번에 마이크 테스트입니다. 노트북이나 컴퓨터 앞에서 말을 해보세요. 아래 그림과 같이 음성인식바가 나타나면 제대로 동작을 하는 것입니다.
테스트가 완료되면 '계속' 버튼을 눌러서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프로필 사진 설정

이제 자신의 프로필 사진을 추가하는 단계입니다.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웹캠에 자신의 얼굴이 나오도록 한 뒤에 '사진찍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만약 다른 이미지나 사진을 원한다면 '찾아보기' 버튼으로 선택해서 사용합니다.

사진을 찍었다면 '이 사진 이용'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Skype 사용시작' 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디오 Setting은 여기에서

추후에라도 Skype의 여러가지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도구 - 옵션' 메뉴를 눌러서 세팅하면 됩니다. 가령 오디오 설정을 다시하고 싶다면 다음 화면에 들어가서 세팅할 수 있습니다.

무료 통화하기

스카이프를 이용해서 통화를 하는 것은 무척 간단합니다. 먼저 통화를 할 상대를 찾은 뒤에 아래 그림과 같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메뉴에서 '통화'를 누르면 됩니다. 

유료이지만 일반전화를 걸고 싶다면

일반 휴대폰이나 유선전화에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메뉴에서 '보기'를 눌러서 '일반전화로 전화하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번호 키패드가 나타나는데요. 국가와 지역을 선택한 뒤에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물론 비용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중간에 결제관련 대한 안내가 나타납니다. 

지금까지 스카이프 사용법과 다운로드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페이스북 메일 알림 끄기 방법

이제 SNS를 사용하는 것은 삶의 일부분이 된지 오래입니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고 친구들과도 사진도 주고받고 소통을 하는데 SNS 만한 것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페이스북을 사용하다보면 수시로 날라오는 메일 알림때문에 귀찮을 때가 많습니다.

 

일에 집중하고 있을 때 스마트폰에 이런류의 메세지가 뜨면 신경이 쓰기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간단한 설정만으로 손쉽게 차단할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럼, 오늘은 페이스북 메일 알림 끄기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나 구글등의 포털에서 다음과 같이 검색해서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모바일에서도 방법이 크게 틀리지 않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먼저,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기

페이스북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이 되었으면 오른쪽 상단에서 역삼각형 모양을 아이콘을 누릅니다. 다음과 같이 메뉴가 나타나면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을 누르면 여러가지 세팅이 가능한 항목이 나타나는데요. 여기에서 '알림' 메뉴를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알림 끄기 설정

알림 메뉴를 누르면 이메일뿐 아니라 데스크톱이나 모바일 그리고 문자 메세지에 대한 세팅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페이스북 메일 알림 끄기 설정을 할 것이므로 이메일을 클릭합니다.

이제 이메일에 대한 알림 수신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현재는 '수신 거부한 알림을 제외한 모든 알림'에 선택되어 있어서 상당히 많은 메일이 오고 있습니다. 

이제 정말 꼭 필요한 알림만 받기 위해서 세번째 있는 '계정, 보안, 개인 정보 관련 알림만'에 체크합니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페이스북 메일 알림이 꺼지게 됩니다. 보안관련 사항은 중요한 내용이기 때문에 페북에서도 최소 설정으로 지정해놓은 것입니다.

따라서 향후에는 친구요청이나 댓글 등에 대한 알림이 오지 않게 되니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지요. 무언가에 몰입하고 있는데 방해받을 일이 없는 것입니다.

사전에 말씀드린대로 크게 어렵지 않게 세팅하실 수 있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보네세요. 감사합니다.


컴퓨터 사양보는법 쉽고 정확한 방법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설치할 때 내컴퓨터의 사양을 확인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특히 일할 때 사용하는 포토샵이나 오토캐드등의 무거운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구동할 때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막상 확인하려하면 제어판에 들어가 보기도하고 여기저기 해맬 때가 많은것이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오늘 설명드릴 speccy 프로그램 하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사양보는법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소프트웨어인데요. 세부적인 하드웨어 정보까지 한눈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더구나 무척 가벼운 소프트웨어인데다 컴퓨터 온도 측정까지 하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함께 시작해보겠습니다. 일단 어떤 프로그램이든지 안전한 공식사이트에서 받는 것이 중요한데요.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나 블로그등에서 내려받았을때는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런곳은 피해야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등의 포탈에서 다음과 같이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을 검색해서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에 들어오면 검색창에 다음과 같이 speccy로 검색합니다.

시스템 정보 관련 Top5 중에서 1위 Speccy

먼저 제가 앞에서도 말씀드린 것 같이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양보는법 중에서는 당당히 일등을 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 검증된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제품의 특징은 컴퓨터의 CPU, 메인보드, RAM,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나 SSD 등의 거의 모든 하드웨어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통계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설치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프로그램이 무척 가볍고 심플한 UI로 유명합니다.

프리웨어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제품의 사용범위를 보면 개인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Freeware 제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프로그램을 설치하겠습니다.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음과 같이 실행파일이 내려받아지면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셋업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아쉽게도 사용가능한 언어에 한국어는 없습니다. 디폴트인 영어를 선택한 뒤에 'Next' 버튼을 눌러서 다음단계로 진행합니다.

부가 옵션은 디폴트 상태로 둔 상태에서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부가적인 컴퓨터 청소프로그램인 'CCleaner'를 설치할 것인가 물어보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필요하신분들은 체크하시고, 그렇지 않다면 'No Thanks, I don't need CCleaner'를 선택한 뒤에 'Next' 버튼을 누릅니다.

설치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디폴트 체크 상태에서 'Finish' 버튼을 눌러서 과정을 마무리합니다.

모든 Hardware와 시스템 정보를 한눈에

드디어 시스템과 하드웨어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이 가능한 Speccy 프로그램이 구동되었습니다. 처음에 뜨는 화면은 Summay 부분인데요. CPU, RAM, 마더보드, 그래픽, 저장장치 등의 중요 정보들이 한눈에 확인가능하도록 요약해서 보여줍니다. 특히 저장장치의 온도도 확인이 가능해서 컴퓨터 과열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는 운영체제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perating System' 메뉴를 눌러주세요. 다음과 같이 운영체제 세부정보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번에는 CPU 정보를 확인하겠습니다. 정말 세부적인 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번에는 Motherboard 메뉴를 눌러보겠습니다. 칩셋모델 정보까지 보여줍니다. 

가장 많이 확인하는 것중의 하나가 그래픽카드 정보일텐데요. 게임이나 무거운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때 꼭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Storage나 다른 정보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컴퓨터 사양보는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시구요. 그럼 행복한 하루보네세요.


iptime 공유기 설정 방법, 아이피타임 비밀번호 등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공유기는 아이피타임입니다. 그런데 막상 처음에 설정을 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할 때가 많은데요.

요즈음 같이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 된 때에는 와이파이(Wi-Fi)가 필수죠? Wi-Fi 설정을 제대로 해놓아야지만 집에서도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요금없이 자유롭게 웹서핑이나 쇼핑, 영화, TV 감상을 할 수 있을텐데요.


오늘은 간단한 세팅만으로 가능한 iptime 공유기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일단, 가장 먼저해야 할 일은 세팅을 할 수 있는 관리자 화면에 접속하는 것인데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접속이 가능합니다. 
어떤 종류의 브라우저도 상관 없으니 먼저 웹브라우저를 켜시기 바랍니다. 

관리자계정 화면 접속하기


브라우저를 켜고나면 아이피타임에서 제공하는 공유기의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해야 하는데요. 아래에 접속 URL을 적어두었습니다. 눌러서 관리자 화면에 들어갑니다.

처음에 관리자페이지에 접속한다면 아이디와 암호는 모두 디폴트로 admin 으로 세팅되어있습니다. 로그인 창이 뜨면 입력하세요.


관리자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와이파이 설정이죠. 무선마법사의 도움을 받으면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무선마법사'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마법사로 Wi-Fi 간단하게 설정하기


아이콘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무선 설정 마법사 팝업이 뜨는데요. 이 기능을 통해서 손쉽게 Wi-Fi 연결이 가능합니다.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사용 국가를 설정하는 단계인데요. 디폴트인 대한민국으로 선택한 뒤에 '다음'버튼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이 단계는 '네트워크 이름(SSID) 입력' 단계입니다. 네트워크 이름인 SSID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따라서 고유한 이름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처음 구입하면 SSID가 디폴트로 iptime으로 되어있습니다. 일단, 디폴트 상태로 둔 뒤에 '중복검사'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동일한 네트워크이름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가 검색되었다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주변에도 아이피타임 공유기가 검색되어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유한 네트워크 이름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네트워크 이름을 만들것인지는 특별히 제한이 없기 때문에 고유하다고 생각하는 영문 SSID를 입력하고 다시 '중복검사' 버튼을 누릅니다.



주변에 동일한 SSID 이름이 없으면 아래 그림과 같이 메세지가 나타날 것입니다. '다음' 버튼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번에는 무선 채널 설정을 하는 단계입니다. 여러가지 채널들이 검색되지만 저의 경우 채널10이 최적의 채널로 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지금까지 설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무선 보안 설정


이번에는 무선 보안 설정을 하는 부분입니다. 몇 가지 옵션중에서 가장 안전한 것은 첫번째 있는 'WPA 기반의 향상된 보안 방식(WPAPSK/WPA2PSK)' 세팅입니다. 첫번째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는 WPA 기반 보안의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옵션중 안전도가 높은 AES 방식을 선택하 뒤에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나서 '설정 적용 후 마법사 마침'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설정을 저장하면서 기능을 종료합니다.


관리 도구 세팅하기


이번에는 관리도구를 통한 공유기 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첫 화면에서 '관리도구'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관리 도구 아이콘을 누르면 다음 그림과 같이 iptime 공유기 설정이 가능한 다양한 메뉴와 옵션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에는 가장 기본적인 두 가지를 설정하겠습니다. 무선 보안 설정 부분과 관리자 사이트의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무선 보안 세팅하기


먼저 왼쪽의 메뉴탐색기 화면에서 [기본 설정 - 무선 설정/보안] 메뉴를 누르면 오른쪽 화면에 다음과 같이 조금전에 마법사(Wizard)를 통해서 자동으로 설정했던 설정 내용이 나타납니다.  



그렇다면 알 수 있겠죠? 조금전 Wizard 통해서 자동으로 무선을 세팅했는데 그렇게 하지않고 이곳 '관리 도구' 화면에 들어와서 설정해도 가능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미 설정한 내용을 관리자 화면인 이곳에 들어와서 변경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먼저 채널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콤보박스를 클릭하니 다음과 같이 많은 채널들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최적의 채널10번을 사용했었구요.


이번에는 '인증 및 암호화' 항목의 콤보 박스를 선택합니다. 암호화 부분을 선택하니 '권장' 옵션이 있네요. 조금전에는 'WPAPSK/WPA2PSK + AES'로 설정되어 있었는데 이곳을 권장하는 'WPA2PSK + AES'으로 선택하겠습니다.

아무래도 권장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곳에서 수정한 내용은 반드시 '적용' 버튼을 눌러주어야 저장이 됩니다.


관리자 계정의 비밀번호 세팅하기


이번에는 아이피타임 관리자 웹페이지에 들어오는 관리자 계정과 암호를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설명드렸지만 디폴트는 아이디와 암호가 모두 admin으로 되어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디폴트로 두면 다른 사람이 검색해서 들어올 수도 있으니 계정과 암호를 설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왼쪽 메뉴탐색기 트리화면에서 [고급 설정 - 시스템 관리 - 관리자 설정] 메뉴를 누릅니다. 그러면 오른쪽에 로그인 암호 설정 항목이 나타납니다. 이곳에서 새로운 계정과 비밀번호를 설정한 뒤에 적용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세팅해놓으면 이제 다른 사람들이 함부로 내 공유기 설정에 손댈 수가 없겠지요?

지금까지 iptime 공유기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꼭 Setting하셔서 안전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회원가입 사이트 조회 방법 이렇게하시면 돼요


벌써 인터넷이 우리 삶에 일상이 된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습니다. 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이 조금씩 사람들의 삶을 파고 들다가 2,000년에는 벤처바람과 함께 인터넷 붐이 사회 전반을 흔들었습니다.
지금도 기억하면 90년대 후반만해도 사람들이 애용하던 인터넷 검색엔진은 지금처럼 네이버와 구글이 아니라 미국산 야후(yahoo)와 국산 검색엔진인 심마니를 주로 사용했었습니다. 그리고 웹브라우저도 지금은 없어진 넷스케이프였죠.


벌써 20년가까이 인터넷이 삶의 한 부분이 되다보니 20여년간 정말 수많은 웹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사실 너무 많아서 정확히 알지도 못하고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특히 요즈음에는 개인정보와 보안 이슈가 중요한데요. 내가 회원가입 사이트 조회하는 방법을 정부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죠. 잘 활용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의 개인정보에 대한 삭제도 가능하다고 하니 정말 편리합니다.


그럼 함께 시작해보겠습니다. 이 서비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인증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익스플로러 브라우저를 띄워주세요.

KISA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홈페이지 들어가기


이제 네이버나 구글에서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라고 검색한 뒤에 나오는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을하니 KISA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웹사이트로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면 화면에서 맨 왼쪽에 '이용내역 조회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조회서비스 확인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보안프로그램 설치하기


조회서비스 확인하기 버튼을 누르면 보안 프로그램 설치에 대한 안내팝업이 뜹니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키보드 보안프로그램과 웹방화벽 프로그램이 필요한데요.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를 진행해주세요.


이용내역 조회하기


보안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이용내역 조회' 화면이 나타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에 대한 안내글이 나타나는데요.



이 사이트의 목적이 웹사이트 이용자의 개인정보 명의도용 및 오남용방지 등 침해예방을 위해서 만들어졌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마우스 스크롤로 화면을 아래로 내립니다.


그럼,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동의함'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는 본인인증을 할 차례입니다. 본인인증 수단으로는 I-PIN과 휴대폰, 공인인증서 이렇게 세 가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편리한 휴대폰을 사용했습니다. 인증 수단을 선택한 뒤에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실명 인증 화면이 나타나면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뒤에 '실명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조회에 대한 안내 팝업이 뜨면 내용을 확인한 뒤에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내가 가입한 사이트 조회하기


드디어 제가 가입했던 웹사이트들에 대한 회원가입 사이트 조회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나왔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조회 화면인데요.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1년부터 5년전까지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상단바에서는 1년에서 5년까지 기간을 선택하고 그 아래에는 세 개의 신용평가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저의 경우 1년전에 총 6건의 가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이렇게 하세요


이 화면을 사용하려면 먼저 상단 바에서 기간을 선택합니다. 저는 1년 전을 선택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신용평가사를 선택하는데 저는 가운데 있는 회사를 선택했습니다. 총 4건인데요. 4건에 해당하는 웹사이트는 그 아래에 탭에서 나타납니다. 

하단의 탭에는 탈퇴신청 가능과 직접탈퇴, 탈퇴불가 이렇게 세 개의 탭이 있는데요. 4건 모두 직접탈퇴를 해야하는 웹사이트입니다. 왜 직접 탈퇴해야 하는지 사유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고 엑셀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필요하신 양식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주민번호로 가입하지 않은 웹사이트는 직접 탈퇴를 해야합니다. 세부적인 사유는 처리사유를 내려받아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럼 유용하게 이용하세요. 감사합니다.


함께하면 좋은글

  1. 학생과 교사라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무료로 쓰자
  2. 무료 백신 순위 알아보기, V3와 알약 누가 승자인가?
  3. 모니터 시력보호 프로그램 f.lux로 블루라이트(blue light)차단하기
  4. GM HDD SCAN으로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검사하자
  5. 한컴오피스 네오 체험판 설치하고 무료사용하기
  6. 어베스트 프리 백신 다운로드하기

오페라 브라우저 다운 및 vpn 추천 기능 괜찮내요


간혹가다가 국내에서 외국 사이트가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많은 경우 그런 사이트가 불법 사이트들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간혹 꼭 필요한 곳인데도 접속이 않될 때가 있는데요. 그럴때 VPN 프로그램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VPN은 가상 사설망이라고도 하는데요. 간단하게 설명하면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IP 대신에 VPN 서버의 IP로 인터넷을 접속한 것처럼 보이는 역할을 합니다. 여러가지 보안이슈로 근래 들어서 브이피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여러가지 웹브라우저중에서 크롬 브라우저와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 크롬의 경우에도 VPN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크롬 앱스토어에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오페라 브라우저는 vpn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VPN 서비스가 유료인 것을 감안하면 Opera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vpn 기능은 무척 매리트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 이번시간에는 Opera 브라우저를 다운로드 받고 vpn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구글이나 네이버등의 포탈에서 '오페라 소프트웨어'로 검색을 해서 공식사이트에 들어갑니다.


Opera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왔습니다. 이제 VPN 기능이 무료로 내장 되어있는지 공식홈페이지에서 확인하겠습니다 상단의 '컴퓨터 브라우저' 메뉴를 눌러주세요.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컴퓨터 브라우저' 메뉴의 화면으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제작사에서 '내장 광고 차단기와 VPN이 무료' 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장 광고 차단 기능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지금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합니다.


지금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이 뜨는데요. 'Opera로 사용량 데이터 전송' 부분은 필요없으신 분들은 저처럼 체크를 해제하신 뒤에 '승인 및 설치'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실행파일을 눌러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Opera 프로그램의 설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웹브라우저인데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설치시간이 얼마 걸리지 않은 걸로 봐서 프로그램이 무척 가볍고 최적화된 느낌이 듭니다.


심플한 UI를 지닌 Opera 웹브라우저


간단하게 설치가 되고나면 심플한 UI를 지닌 브라우저 화면이 나타납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프로그램이 무척 가볍다는 점입니다.



그럼 브라우저를 통해서 vpn 기능 세팅과 광고차단을 어디서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왼쪽 상단에서 '메뉴'를 눌러주세요.


그 다음에는 서브 메뉴에서 '설정' 메뉴를 눌러주세요.


광고 차단 기능 설정은 이곳에서


설정 화면에 들어오면 먼저 오른쪽에 광고 차단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번 뜨는 광고를 차단하고자 한다면 이 옵션에 체크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제 VPN 기능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을 눌러주세요.


오페라 브라우저 vpn 기능 설정하기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설정 화면에 들어오면 맨 아래쪽에 VPN 기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는 해제가 되어있는데 체크하면 활성화 됩니다. 체크를 합니다.


'VPN 사용' 체크박스에 체크하면 아래 그림처럼 주소창 옆에 아이콘이 생기면서 기능이 활성화된 것이 표시됩니다.


주소창 옆의 오페라 vpn 아이콘을 누르면 상세 정보가 나타납니다. 간편하게 동작 단추로 바로 켜거나 끌 수 가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전송내역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상 국가를 설정해보자


현재 내 컴퓨터가 있는 IP 위치가 아닌 가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가상 위치' 콤보박스를 누르면 됩니다.  캐나다, 미국, 독일등 설정할 수 있는 국가들이 나타납니다. 프로그램에게 위치를 맡기려면 최적화 위치를 선택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오페라 브라우저의 vpn 추천에 대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함께하면 좋은글

  1. 구글 크롬 브라우저 다운로드하기, 웹브라우저 계의 왕좌
  2. 가벼운 웹브라우저 파이어폭스 64비트 다운로드하기
  3. 학생과 교사라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무료로 쓰자
  4. 저작권 걱정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추천 Best 5
  5. 무료 백신 순위 알아보기, V3와 알약 누가 승자인가?
  6. 워드프레스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진심 추천해요!

HP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간단 설치방법


컴퓨터를 처음 구매하거나 윈도우 포맷을 한 뒤에는 언제나 여러가지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하는데요. 프린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프린터 드라이버를 잘못설치하거나 방법을 잘 알지못해서 애를 먹는 경우가 종종있는데요.
오늘은 HP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와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시장에서는 브랜드 파워때문에 삼성 프린트의 점유율이 상당히 높지만, 세계 프린터 시장에서 1위는 바로 HP이죠.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제품에 대한 신뢰도는 어느정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함께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구글이나 네이버등의 검색엔진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합니다. 다음과 같이 공식사이트가 나올텐데요. 'HP코리아'를 눌러서 공식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HP코리아 공식홈페이지가 나타나면 오른쪽 상단에 '고객지원' 메뉴 부분에 마우스를 가져다 댑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 메뉴가 펼쳐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곳을 눌러주세요.


프린터 제품명, 모델명 자동완성 기능을 활용하자!


이제 본격적으로 자신이 사용하는 프린터의 드라이버를 찾으면 되는데요. 정확한 프린터의 모델명이나 제품명을 알면 좋겠지만 정확한 모델명을 알지 못해도 자신이 알고있는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완성기능으로 모델 정보를 보여주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제가 알고있는 프린터기의 정보가 'hp 3545'라면 알고 있는 정보까지만 입력합니다.


그러면 검색박스 입력한 모델명과 관련있는 프린터기들이 자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찾는 모델이 맞다면 선택합니다.(제품명이나 모델명은 프린터기기에 적혀있으니 앞뒷면을 확인해주세요.)


저는 Deskjet Ink Advantage 3545 e-올인원 프린터를 선택하였습니다.
제품명, 모델명의 입력과 선택이 끝나면 '찾기' 버튼을 클릭해서 해당 드라이버를 검색합니다.


제가 찾았던 hp 올인원 프린터기가 검색되었습니다. 운영체제 정보를 보니 사용가능한 운영체제가 윈도우10이 명시되어있으니 바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자신의 운영체제가 윈도우가 아닌 맥(Mac OS)이나 리눅스(Linux) 사용자라면'변경'버튼을 클릭해서 드라이버를 바꿀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컴퓨터 운영체제를 확인하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이 Linux와 Mac OS에 대해서도 HP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저는 윈도우10(Windows 10)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겠습니다.


몇 가지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download 받을수 있는데요. 우리가 필요한 것은 바로 '통합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입니다.



드라이버 파일의 크기를 확인하니 110MB로 크기가 적지는 않기때문에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다운로드 시간이 조금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제 HP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를 진행하겠습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설치 도우미 팝업이 뜨면서 다운로드가 끝나면 실행파일을 클릭해서 설치하라고 안내하고 있는데요. 설치한 뒤에 재부팅하시면 프린터가 제대로 동작할 것입니다.
 
만약 프린터 구매시 제공받았던 Driver CD를 분실해도 이렇게 공식홈페이지를 활용하면 언제든 Driver를 다운로드 받아서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S 워드 TTS 프로그램으로 텍스트음성변환 하기


요즈음은 텍스트 글자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TTS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굳이 그런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MS 워드만 있다면 텍스트음성변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 알아두면 무척 유용합니다.


그런데, MS Word에 내장된 기능이라서 혹시 성능이 떨어질까 하는 우려나 생각도 있었는데요. 제가 테스트해본 결과 놀라울 정도로 매끄럽게 음성으로 바꾸어주더라구요. 적어도 우리가 회사에 전화해서 ARS 음성안내를 받는 수준 이상은 되는 것 같습니다.

Word의 음성변환 성능은 이북전용앱인 알라딘 ebook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제가 느끼는 정성적인 비교이기는 하지만 알라딘 이북앱의 TTS 기능에도 절대 뒤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알라딘에서 이북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스마트폰에 '알라딘 ebook'앱을 설치하고 리더(Reader) 기능으로 사용하실텐데요.

알라딘 ebook앱을 통해서 자신이 구매했던 이북을 열면 다음 그림과 같이 하단에 티티에스 기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에 있는 텍스트가 음성으로 변환되는 것이지요.
알라딘 이북앱을 사용해보시는 분들은 함께 비교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Word 외에도 같은 오피스 제품인 파워포인트, 원노트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먼저, MS Word를 실행시켜야 하는데요. 아직 컴퓨터에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으신 분들은 다음 관련글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텍스트 음성 변환 기능을 테스트해볼 것이기 때문에 샘플로 사용할 한글문서가 있어야겠죠?
저는 이전 포스팅의 글을 테스트용 샘플로 사용했습니다. 샘플로 사용된 글에 대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면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조글


그럼, 본격적으로 MS 워드에 TTS 프로그램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시작해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단 메뉴탭에서 '파일'을 클릭합니다.


파일 메뉴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하위메뉴로 나타나는 '옵션' 메뉴를 눌러주세요.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서 설정하자


이제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Word 옵션 팝업이 뜨게 되는데요. 왼쪽 메뉴에서 '빠른 실행 도구 모음' 메뉴를 누릅니다.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사용자 지정 영역에 '명령 선택'콤보박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명령'을 클릭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명령을 콤보박스를 선택하면 '모든 명령'이 있습니다. 그것을 선택해주세요.


명령 선택 항목에서 '모든 명령'을 선택하니 정말 많은 명령들이 리스트업되는데요.



마우스로 스크롤을 내려셔서 다음 그림과 같이 '읽어주기' 항목이 나타나면 선택한 뒤에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가 버튼을 누르면 '빠른 실행도구 도구 모음' 부분에 '읽어주기' 기능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빠른 실행 도구로 MS 워드 TTS 기능을 추가했으므로 '확인'버튼을 클릭해서 설정을 마칩니다.


글자 읽어주기 기능을 사용해보자


설정을 마치고나니 아래 그림과 같이 워드프로그램 왼쪽 상단에 풍선말 모양의 TTS 기능 아이콘이 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모두 이렇게 아이콘이 보이시지요? 


텍스트 음성 변환 기능의 사용법은 어렵지 않은데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먼저 아래 그림과 같이 음성으로 읽어주기 원하는 부분의 글자를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에 왼쪽 상단의 풍선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바로 글읽어주기 기능이 실행됩니다.


위 문서를 읽은, 실제 음성파일 아래서 들어보세요~!


위의 문서내용을 읽어준 것을 음성파일로도 아래에 올려놓았으니 변환된 음성의 품질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 플레이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실제 들어보시면, 생각보다 상당히 퀄리티가 높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TTS 프로그램은 사실 우리 주변에 있는 시각 장애인(장애우)분들에게도 상당히 유용한 소프트웨어인데요.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