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를 만들고 나서 운영하다보면 다른 웹사이트나 책, 광고에서 볼 수 있는 미려한 폰트에 대한 욕심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폰트는 구글 폰트와 네이버 나눔 폰트가 있습니다.
구글은 폰트 서비스를 통해서 전세계의 여러가지 폰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 폰트는 자신이 운영하는 서버나 자신의 PC에 폰트를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URL 링크 기반으로 불러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URL 링크 기반으로 불러오는 폰트 사용 방식을 웹폰트 라고도 합니다. 여기에서는 링크 기반의 구글 웹폰트를 사용해서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폰트


구글 폰트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먼저 구글 폰트 서비스 사이트에 들어가서 자신의 사이트에 적합한 폰트를 찾아야합니다. 웹브라우져를 열고 구글 폰트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구글에서 아직까지는 한국어 폰트는 정식버전으로 제공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왼쪽 Script 항목의 콤보박스를 클릭해서 확인해보면 한국어 버전인 Korean 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버전은 임시 서비스(Early Access)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Early Access로 제공되는 폰트를 확인하기 위해서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More Scripts를 클릭합니다.



임시 서비스인 Early Access 폰트가 리스트업 됩니다. 



명조체 관련된 한국어 폰트를 찾기 위해서 웹브라우저 화면에서 Ctrl + F 를 클릭해서 Korean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아래로 내리다 보면 나눔 명조체인 Nanum Myeongjo 폰트가 검색됩니다.



구글은 구글 폰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링크와 사용 예제를 제공합니다. Link 부분과 Example 부분의 텍스트를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습니다. 복사한 텍스트는 조금 뒤에 Custom CSS에 적용하는데 쓰일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구글 폰트 적용하는 방법


먼저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아래 화면에서와 같이 슈만의 사이트에서는 고딕계열의 폰트체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으로 들어와서 Custom CSS 방식으로 웹사이트 전체에 나눔 명조를 적용하겠습니다.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외모 > CSS 편집 메뉴를 클릭합니다.



CSS 스타일시트 편집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곳에 구글 나눔명조 폰트를 CSS 스타일로 적용하면 Custom CSS 방식으로 웹사이트 전체의 폰트가 변경될 것입니다. 



조금 전 구글 폰트 사이트에서 복사한 아래의 나눔명조 폰트의 텍스트를 CSS 스타일시트 편집기에 붙여서 사용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아래 그대로 붙여넣으면 않됩니다. CSS 문법에 맞추어서 붙여 넣어야 합니다.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myeongjo.css);

font-family: 'Nanum Myeongjo', serif;


구글 폰트 사이트에 복사한 텍스트를 아래와 같이 CSS 문법에 맞게 편집합니다.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anummyeongjo.css);

body{ font-family: 'Nanum Myeongjo', serif; }


이제 편집한 텍스트를 CSS 스타일시트 편집기에 아래와 같이 붙여넣고 스타일시트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스타일시트가 저장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고 import 구문이 맨 윗줄로 위치가 이동됩니다. 표준 문법에 따라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이므로 코드의 위치는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이제 구글 폰트가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합니다. 웹사이트 전체 폰트가 나눔명조체로 적용되었습니다. 




정확하게 소스 코드상에서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마우스를 화면에 놓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뜨는 창에서 검사를 선택해서 HTML 소스코드 요소 검사를 실행합니다.




오른쪽 화면에 HTML 소스에 대한 요소 검사화면이 나타납니다. Ctrl + F를 클릭해서 검색창에서 Nanum 이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Custom CSS 스타일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눔 명조체 말고도 구글 폰트 사이트에서 여러 종류의 폰트가 있으지 자신의 웹사이트 성향에 가장 적절한 폰트를 찾아서 적용하면 됩니다.




그라바타란 무엇인가?


워드프레스 설치시 기본 기능에는 아바타를 등록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그라바타(Gravatar) 서비스를 이용하면 아바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라바타는 Globally Recognized Avatar 라는 용어에서 만들어졌습니다. 그라바타 서비스는 그라바타 사이트에서 한 번 아바타를 등록해 놓으면 여러가지 웹사이트나 소셜 계정에서도 별도의 등록 과정없이 그라바타 아바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이 사용하는 웹사이트나 소셜에 매번 프로필 사진을 등록할 필요가 없고 단 한번 그라바타 서비스에 아바타로 등록해 놓고서 사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라바타 서비스에서 인식자로 사용하는 아이디는 이메일 주소입니다.

먼저 그라바타 서비스에 가입 절차를 확인하고 워드프레스에서 아바타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라바타 서비스 가입하기


먼저 그라바타 사이트( http://ko.gravatar.com/ ) 접속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라바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입형 워드프레스인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이 있다면 이메일과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직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이 없다면 Create an Account 버튼을 클릭해서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생성 후 로그인합니다.


그라바타 서비스에 로그인하면 My Gravatars 메뉴가 디폴트로 열립니다. 아직 아바타에 사용할 프로필 이미지를 등록하지 않았습니다. 아래에 하나 추가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링크를 클릭해서 이미지를 등록합니다. 그라바타 이미지를 등록할 때 등급이 있는데 전체 공개 등급인 G등급으로 등록하면 됩니다.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Gravatar 관리 화면에 등록된 아바타가 보일 것입니다. 이제 이 아바타를 자신의 웹사이트나 소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아바타 보이게 하기


아직까지 오른쪽 상단 프로필 화면이나 댓글 화면에 아바타가 보여지지는 않습니다. 가장 간단하게 아바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은 프로필 화면에서 이메일 계정을 그라바타 서비스에 등록한 이메일 계정과 맞추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오른쪽 상단 화면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내 프로필 편집 화면이 나타납니다. 내 프로필 편집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연락처의 이메일 부분을 자신이 그라바타 서비스에 등록한 것과 동일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프로필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프로필 업데이트가 끝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프로필 부분과 댓글 목록 화면에서 그라바타 서비스가 연결된 아바타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관리하는 것은 워드프레스 콘텐츠 관리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악의성 댓글이나 스팸 댓글은 사이트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댓글이 관리되지 않는 사이트에 방문을 꺼려하는 것도 다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기본 기능에서는 댓글 관리를 크게 두 곳에서 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댓글에 대한 관리는 설정 > 토론 메뉴에서 진행하며, 개별 글에 대한 댓글 관리는 개별글 옵션에서 설정합니다.
전체적인 댓글 관리인 설정 > 토론에서 댓글에 대한 설정을 해두었다고 해도 우선순위는 개별 글에 대한 댓글 설정에 있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설정 > 토론 에서 전체 댓글은 허용으로 체크하고 특정 개별 글에 대해서 댓글을 달지 못하도록 설정하면 개별글 댓글 설정에 의해서 댓글을 달지 못하게 됩니다.

댓글 전체 설정


댓글에 대한 전체 설정은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설정 > 토론 메뉴를 클릭해서 관리합니다. 토론 메뉴를 클릭합니다.


토론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곳에서 사이트 전체적으로 댓글 설정을 수행합니다. 전체 댓글을 허용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은 한글로 잘 번역이 되어있기 때문에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개별 글의 댓글 설정


댓글 설정의 우선 순위는 개별글의 댓글 옵션입니다. 개별 글에 대한 옵션을 확인하기 위해서 개별 글 화면에 들어갑니다. 글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의 화면 옵션 버튼을 클릭합니다.



화면 옵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토론 체크박스는 개별 댓글에 대한 권한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댓글 체크박스는 실제 글에 달린 댓글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옵션입니다.
화면 옵션 항목에서 체크가 되면 화면에 보여지고 해제되면 화면에서 사라집니다. 아래와 같이 토론과 댓글 체크박스에 체크를 합니다.



화면 옵션에서 토론과 댓글에 체크를 하면 아래와 같이 글 편집 화면 아래부분에 토론과 댓글 박스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개별글에 대한 댓글 설정은 토론 박스 안에 댓글 허용 부분에서 설정합니다.



작성된 댓글 관리


관리자는 작성된 댓글에 대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관리하는 화면은 별도의 메뉴로 있습니다.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댓글을 클릭하면 됩니다.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된 댓글을 관리할 수 있는 목록 화면이 나타납니다.



댓글에 대해서 승인 기능을 설정하였다면 아래 화면에서와 같이 댓글 확인후 승인 기능을 사용해서 승인처리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기능상으로는 사용자수를 제한없이 추가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무조건 사용자를 늘리는 것보다는 꼭 필요한 사용자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고 역할에 맞게 권한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와는 다르게 요즈음 웹사이트의 트랜드는 굳이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어느정도의 웹사이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하거나 간략하게 죄소한의 정보로 로그인을 요청하는 사이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패스트(FAST) 사회, 빠름이 경쟁력


이미 기존의 대형 인터넷 쇼핑몰의 매출을 뛰어넘은 소셜 커머스 플랫폼인 쿠팡, 위메프, 티몬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쇼핑몰 사이트에 가입하려도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요청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소셜 커머스는 전화번호나 이메일 정도의 정보로 간편하게 가입이 되며 사이트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워드프레스를 통해서 블로그나 중소형 쇼핑몰을 시작하려고 한다면 굳이 로그인을 요청하거나 로그인 절차를 복잡하게 하는 것은 사용자의 웹사이트 접근성을 떨어트리는 일입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로그인 없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팀블로그등 여러명이 운영한다면 관리자외에 편집자나 글쓴이 정도의 권한은 부여해야 합니다.

사용자 추가하기


워드프레스에서 사용자를 추가하고 관리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사용자 > 사용자 추가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사용자를 추가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필수 정보는 사용자명과 이메일 그리고 역할 부분입니다.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추가 됩니다.



역할 항목은 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내는 옵션입니다. 사용자의 권한은 아래 화면과 같이 다섯 가지 권한으로 구성됩니다.



사용자 권한 종류


관리자 : 웹사이트 전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로 Administrator 라고도 합니다.
편집자 : 글을 쓰는 콘텐츠의 생산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생상하는 생산자들(편집자, 글쓴이)를 총괄 관리하는 사람입니다. 신문사로 따지면 편집장 정도의 위치라고 보면 됩니다. 글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쓴이 : 글을 작성하고 글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기여자 : 글을 작성할 수 는 있지만 발행 권한은 가지고 있지를 않습니다. 따라서 기여자가 작성한 콘텐츠는 관리자나 편집자의 검토를 거친뒤에 발행할 수 있습니다.
구독자 : 말 그대로 글을 읽는 사람을 말합니다. 신문사로 치면 신문 구독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사용자 권한표


 
관리자
편집자
글쓴이
기여자
구독자
사용자 관리
가능
X
X
X
X
워드프레스 설정
가능
X
X
X
X
글쓰기 기능
가능
가능
가능
가능(발행 불가)
X
페이지 기능
가능
가능
X
X
X
다른 유저 글수정
가능
가능
X
X
X


사용자 권한을 부여한 뒤에 사용자 관리는 사용자 > 모든 사용자 메뉴를 클릭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모든 사용자 메뉴를 클릭하면 등록한 사용자 정보가 목록 형태로 디스플레이 됩니다.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면서 고유주소나 슬러그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고유주소는 슬러그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고유주소는 콘텐츠 작성한 글이나 페이지의 URL 주소입니다. 즉, 해당 콘텐츠의 접속 경로입니다. 워드프레스의 고유주소 일반 설정을 글 이름으로 세팅하면 글이나 페이지를 작성시에 입력하는 제목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고유주소를 만들어냅니다.

아래처럼 제목을 입력하면 워드프레스는 고유주소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슬러그를 사용할 때 두 가지 중요사항


첫째, 글이나 페이지를 공개한 뒤에는 가능한 슬러그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글이나 페이지가 공개된 뒤에 슬러그를 변경하면 이미 SNS 등을 통해서 공유된 슬러그 URL의 링크를 클릭해도 페이지를 오류가 나서 해당 사이트의 신뢰성을 떨어트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개버튼을 클릭해서 인터넷상에 자신의 글을 발행하게 되면 발행 시점부터 구글등 검색엔진이 해당 페이지에 대해서 검색 색인 작업을 자동으로 하게됩니다. 검색엔진에서는 슬러그 변경 전 URL을 색인해놓았는데 만약 슬러그 변경으로 깨진 링크가 발생하면 역시 사이트의 최적화에 좋은 영향을 주기는 어렵습니다.


둘째, 슬러그는 가능한 영문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SNS를 통해서 URL을 공유할 때 어떻때 보면 http://shuman.kr/%20%E2%80%8E 과 같이 깨진 주소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문을 사용해서 슬러그를 입력하면 주소가 깨지지 않지만 한글을 사용하면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한글 주소자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서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또한 발생합니다. 그런 경우에는 호스팅 서버 세팅의 문제일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서버 설정에 익숙하지 않다면 가능한 슬러그는 영문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글 고유주소로 연결되지 않을 때 처리 방법


한글 고유주소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UTF-8 유니코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이럴때는 서버의 .htaccess 파링의 # END WordPress 아래 부분에 다음 내용을 추가해서 명시적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하도록 하면 됩니다.

# END WordPress

<IfModule mod_url.c>
CheckURL On
ServerEncoding UTF-8
</IfModule>


워드프레스에서 고유주소 설정하기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설정 > 고유주소를 클릭합니다.



고유주소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일반 설정 옵션을 글 이름으로 선택하고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일반 설정 항목에 보면 여러가지 표시방법으로 고유주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는 http://shuman.kr/?p=123 형태로 되어있지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가능한 해당 글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글 이름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날짜나 월별로 관리하고 싶다면 날짜와 이름 이나 월과 이름을 사용해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일상의 삶이 된 구글


검색 엔진 사업으로 시작한 구글은 안드로이드 및 유망한 회사를 인수합병하면서 이제는 우리의 현실의 삶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회사가 되었습니다. 아이폰과 함께 등장했던 스마트폰 시장의 애플 기류는 그 자체의 폐쇄성 때문에 시장 확장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아이폰 등장과 함께 스마트폰 시장을 완전히 장식할 것 같은 기세는 이미 꺾긴지 오래고, 아무래도 소스공개와 확장성을 겸비한 구글의 안드로이드에게 밀리고 있습니다.

구글의 시스템들이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구글이 무료로 배포하는 앱과 프로그램들 때문이라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구글이 얼마 전 공개한 구글 포토의 용량 무제한 정책은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기를 좋아하는 일반인들에게 큰 찬사를 받았습니다.

사진을 많이 찍다보면 언제나 접하는 문제는 용량의 장벽입니다. 구글 포토는 용량을 무제한으로 만들어주는 대신 그 대가로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정보가 구글 서버에 많아지고 사람들이 올리는 사진이 많아질수록 구글의 자동화 엔진은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오랫동안 구글프로그램과 앱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활하면서 없어서는 안 될 프로그램은 바로 구글 캘린더입니다. 스마트폰으로 구글 캘린더를 사용해서 일정을 관리하고 노트북과 함께 활용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지 않는 분들은 이번 기회에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에 들어간 구글 캘린더


일을 하다보면 언제나 들여다보는 것이 일정입니다.
워드프레스에 구글 캘린더를 적용하면 그룹이나 팀 간의 일정을 공유하기에 좋은 플랫폼이 됩니다.
그럼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구글 캘린더를 적용해보겠습니다.

구글 캘린더를 워드프레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iframe 형태로 바로 워드프레스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구글 캘린더에서 소스 복사


먼저 구글 캘린더( https://calendar.google.com/ )에 로그인 합니다. 구글 캘린더에 로그인하면 현재 캘린더에 기록한 일정들이 디스플레이 됩니다. iFrame을 활용해서 이 캘린더를 그대로 워드프레스에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왼쪽 메뉴의 내 캘린더에서 고객 주간 미팅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마우스 우클릭을 합니다. 우클릭을 하면 뜨는 팝업에서 캘린더 설정을 클릭합니다.




고객 주간 미팅 세부정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됩니다. 아래쪽에 있는 이 캘린더 추가하기 항목에 iframe 소스코드를 복사합니다. 이 소스코드가 바로 구글 캘린더 소스입니다.





워드프레스 페이지에 구글 캘린더 붙여넣기



워드프레스에서 새 페이지 추가를 클릭해서 새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새 페이지의 제목은 구글 캘린더를 입력합니다. 오른쪽에 텍스트 탭을 클릭한 뒤에 조금 전 복사했던 구글 캘린더의 iframe 소스를 붙여 넣고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워드프레스 페이지 내에 구글 캘린더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구글 캘린더 자체적으로 많은 기능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캘린더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도 워드프레스에서 캘린더 일정을 함께 공유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캘린더를 중복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셈입니다.
     


웹사이트에는 항상 홈(Home)이라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홈은 사이트에 접속할 때 기본적으로 보여지는 페이지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홈은 회사사이트의 경우 회사 홍보나 간략한 소개로 꾸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해서 처음 보는 화면이기 때문에 가장 신경이 쓰이는 페이지이도 합니다.

개인 사이트의 경우에도 사이트의 성격을 가장 잘알수 있는 것은 메인 페이지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메인 페이지를 전면 페이지라는 용어로 사용합니다. 여기에서는 전면 페이지의 디자인 측면은 배제하고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서 전면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면 페이지 설정하기


전면 페이지를 꾸미기 위해서는 먼저 Home 이라는 페이지를 만들고 워드프레스 설정 > 읽기 에서 전면 페이지 표시여부에서 정적인 페이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먼저 왼쪽 사이트바에서 워드프레스 설정 > 읽기를 클릭합니다.



읽기 설정의 전면 페이지 표시 여부는 디폴트로 최근 글로 되어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태생이 블로그이다 보니 전면 페이지가 글목록이 나오는 최근 글로 선택되어져 있습니다. 이 옵션을 정적인 페이지로 바꾸고 앞으로 만들 전면페이지를 Home 이라는 페이지를 선택해야 전면 페이지가 사이트에서 디폴트 메인페이지로 보이게 됩니다. 정적인 페이지를 선택하고 Home 이라는 페이지를 선택하려면 Home 이라는 페이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Home 이라는 공백의 페이지 만들기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페이지 > 새 페이지 추가 를 클릭합니다.



일단 콘텐츠 내용은 작성하지 않고 정적인페이지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물리적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제목에 Home 이라고 작성하고 공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 > 읽기 화면에 들어갑니다.



읽기 설정에서 정적인 페이지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고 전면 페이지에서 Home을 선택한 뒤 일기 설정의 저장버튼을 클릭합니다.



전면 페이지가 Home 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사이트에 접속하면 조금 전 만들었던 HOME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제 화면에 보여지는 전면페이지를 꾸며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면 페이지를 꾸미는데는 지난 시간에 공부한 Shortcodes Ultimate 플러그인을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만들지 먼저 눈으로 확인하면 공부하는데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우리가 만들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들어 볼 전면 페이지 화면


아래 보여지는 전면 페이지를 하나하나 만들어 가겠습니다. 숏코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HTML과 CSS를 알지 못해도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홍보용 제목과 유튜브 홍보 영상 배치하기


홍보용 제목은 숏코드의 인용구를 사용해서 만들겠습니다. Insert shorcodes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용구 숏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Quote를 클릭합니다.



옵션 박스에서 아래와 같이 홍보 영상 제목을 입력한 뒤에 Insert shorcode 버튼을 클릭합니다.



[su_quote] 숏코드가 본문에 자동 입력되었습니다. 오른쪽에 변경내용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해서 적용화면을 미리 확인하겠습니다. 변경내용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결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홍보용 유튜브 영상을 본문에 보이게 하겠습니다.


숏코드에서 Youtube를 선택합니다.



옵션 박스에서 유튜브 홍보영상의 URL을 입력한 뒤에 Insert shortcode 버튼을 클릭합니다.     



본문에 [su_youtube] 로 유튜브 숏코드가 입력되었습니다. 미리보기로 현재까지 화면을 확인하겠습니다.


현재까지 완성된 화면입니다. 조금씩 홈페이지 메인이 완성되고 있습니다.




서비스 내역 소개하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역을 소개하는데에는 Heading, ROW, Service, Button  총 4개의 숏코드를 사용하였습니다.

숏코드에서 Heading 을 선택합니다.


Heading 옵션 박스에서 Size 항목을 20로 조정하고 Content 항목에 아래 내용을 입력합니다.



본문에 [su_heading] 숏코드가 입력되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적용화면을 확인합니다.



이번에는 서비스 내용을 소개하는 부분을 만들겠습니다. 먼저 Row 숏코드를 사용해서 화면을 삼등분하고 각 각에 서비스 숏코드를 사용해서 상세 설명을 적어가겠습니다. 

숏코드에서 ROW를 선택합니다.


옵션 박스는 디폴트로 그대로 저장합니다.



본문에는 다음과 같이 숏코드가 입력되었습니다. 이제 본문에서 숏코드를 편집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코드를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코드는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된 코드는 가독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아래에 Content 부분에 서비스 숏코드가 들어갈 것입니다. 


첫번째 Content를 지우고 그곳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킨 다음에 숏코드 선택화면을 띄웁니다.


Service를 선택합니다.



옵션 박스에서 제목에 3D 프린팅을 입력하고 Icon picker 버튼을 클릭해서 서비스 제목앞에 들어갈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서비스 설명은 Content 항목에 입력한 뒤에 Insert shortcode 버튼을 클릭합니다.



본문에 숏코드 소스가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입력되었습니다. 변경내용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해서 숏코드 적용화면을 확인합니다.



3D 프맂팅 서비스 제목과 내역이 입력된 화면을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두 개의 콘텐츠도 서비스 숏코드를 활용해서 입력합니다.




버튼을 입력하기 위해서 버튼 숏코드를 클릭합니다.



아이콘 피커를 사용해서 버튼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버튼 제목을 입력합니다.




전면 페이지 구성을 위한 숏코드 입력이 모두 끝났습니다.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해서 적용을 완료합니다.



엔드유저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지 확인하겠습니다. 웹브라우져에 들어가서 http://shuman.kr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모든 코드가 적용되어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 리스트 화면 만들기


읽기 설정에서 정적인 페이지 전면 페이지를 지정하면 이전에 보이던 글 목록 화면은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는 글 목록을 볼 수 있는 별도의 '글 리스트'이라는 더미페이지를 만들고 설정 > 읽기 > 읽기 설정의 글 페이지에서 연결을 해주어야 합니다.

새 페이지를 추가해서 제목에 글 리스트라고 작성하고 공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글 페이지에서 글 리스트를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이제 '글 리스트' 페이지를 메뉴에 추가해도 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URL http://shuman.kr/글-리스트/ 로 접속하면 글 목록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면 글을 작성시 여러 개의 이미지를 첨부해서 간편하게 이미지 갤러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미지 갤러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글 작성 화면에 들어가야합니다. 왼쪽 사이드바에서 글 > 새 글 쓰기를 클릭합니다.



제목에 이미지 갤러리라고 입력한 뒤에 미디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 갤러리 생성하기를 클릭합니다. 파일을 선택해서 이미지를 업로드 할 수 있고, 미디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기존에 업로드된 이미지로 갤러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선택하세요 버튼을 클릭합니다.



총 9개의 이미지를 업로드 하였습니다. 파일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추가 되게 됩니다.
오른쪽 아래에 있는 '새 갤러리 생성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갤러리를 편집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미지를 드래그해서 이미지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이미지별로 이미지 캡션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연결은 이미지를 클릭했을 때 연결되는 곳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열 컬럼은 한 줄에 몇개의 이미지를 보여줄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랜덤하게 보이기 위해서는 랜던 순서에 체크하면 됩니다.


모든 설정을 마치면 '갤러리 삽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글의 본문에 이미지 갤러리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보기 화면에 들어가보면 훌륭한 이미지 갤러리 페이지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미지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