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워드프레스 사이트 등록하기


네이버는 전 국민이 사용하는 생활 필수품이 된지 이미 오래 되었습니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만들고, 도메인과 웹호스팅 업체를 선정하여 워드프레스 개발 소스를 모두 웹호스팅 서버로 올렸다면 이미 인터넷 URL을 통해서 자신의 워드프레스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문제가 하나있습니다. 이제 막 제작을 완료한 워드프레스 사이트라면 그렇게 쉽게 네이버에서 검색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자신이 만든 사이트가 유명한 대형 사이트라든지 아니면 콘텐츠가 무척 풍부하지 않는 이상 네이버 검색엔진은 자신이 만든 사이트의 존재를 알 방법이 없습니다.


검색엔진은 주기적으로 크롤링 과정을 거쳐서 자신의 웹사이트와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검색 우선순위를 매깁니다. 그렇지만 콘텐츠도 부족하고 이제 막 제작을 완료한 사이트라면 네이버에게 내 사이트의 존재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은 워드프레스로 제작한 사이트 뿐아니라 모든 웹사이트에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네이버 검색엔진에서 내 사이트가 검색되게 할까요? 답은 바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용하기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는 내 사이트의 존재를 네이버 검색엔진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내 사이트의 URL 주소가 이러하니 네이버 검색할 때 꼭 찾아줘"라고 이야기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럼 네이버 웹마스토 도구를 활용해서 내 사이트 정보를 네이버 검색엔진에게 제출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는 로그인을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을 하면 기존에 등록해놓은 티스토리 사이트 정보가 나타납니다. 예전에는 티스토리 사이트를 등록했지만 이제는 워드프레스로 만든 웹사이트를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사이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정보 입력하기


사이트 추가버튼을 클릭하면 사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자신이 만든 워드프레스 사이트나 웹사이트의 URL을 입력한 뒤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당연히 웹호스팅을 받지 않고 자신의 로컬컴퓨터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하기


두번째는 사이트의 소유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이트 소유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화면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HTML 태그 : HTML 태그를 자신의 HTML 소스안에 붙여넣는 방법
2) HTML 파일 업로드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제공하는 인증용 HTML 화일을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의 루트디렉토리로 올리고 인증하는 방법

여기에서는 2)번 방법인 HTML 파일 업로드를 사용하겠습니다. HTML 파일 업로드 항목에 라디오 버튼을 클릭합니다.




HTML 파일 업로드를 선택하면, HTML 파일을 통한 인증 방법이 나타납니다.
순서는 먼저 인증용 HTML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한 HTML 파일을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로 업로드 한 뒤에, 해당 URL로 접속해서 정상적으로 HTML 인증 파일이 업로드 되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그럼 먼저 아래 HTML 확인 파일 부분을 클릭해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인증용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ML 확인 파일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인증용 HTML 화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이렇게 다운로드한 인증용 HTML을 파일을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의 루트디렉토리에 업로드 하면 됩니다. 루트디렉토리에 대한 설정은 서버마다 틀리지만, public_html로 되어있는 곳도 있고 www 로 되어있는 곳도 있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HTML 인증파일을 FTP 프로그램을 통해서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서버에 업로드를 하였다면 이제는 파일을 업로드한 URL로 접속해서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 지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URL로 접속합니다.




정상적으로 인증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었다면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나타날 것입니다



정상적으로 인증용 HTML 파일의 접속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아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정보 확인하기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 연동된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새로 추가된 사이트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 적색부분의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이제 막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추가했지만 아래 최근 수집 상태 정보에서 DNS 상태가 정상이고, robots.txt 화일이 정상적으로 수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와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시키기


웹사이트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분석의 유용한 도구인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 애널리틱스 사이트에 들어가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워드프레스를 사용한다면 굳이 구글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웹사이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 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플러그인 중의 하나는 Google Analytics by Yoast 플러그인입니다.





Google Analytics by Yoast 플러그인 설치하기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을 설치하기 위해서 관리자 메뉴의 왼쪽 사이드바에서 플러그인 추가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플러그인 검색화면에서 Google Analytics by Yoast 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첫번째 플러그인의 치금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Google Analytics by Yoast 플러그인 연결하기


Google Analytics by Yoast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관리자 화면에 다음과 같은 메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alytics > Settings 메뉴를 클릭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by Yoast의 설정화면이 나타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 인증하기 위해서 General 메뉴에서 Authenticate with your Google accout 버튼을 클릭합니다.



Authenticate with your Google accout 버튼을 클릭하면 구글 계정 로그인 팝업이 뜹니다.



이곳에 자신의 구글 계정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해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구글의 권한요청 내용의 팝업 화면이 나타납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인 Google Analytics by Yoast에서 구글 애널리틱스의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권한 요청 확인 팝업입니다. 하단의 동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동의 버튼을 클릭하면 인증코드가 나타납니다. 아래 인증코드를 드래그해서 복사해둡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으로 와서 아래 입력란에 복사한 구글 인증코드를 붙여넣습니다.




구글 인증코드를 워드프레스에 붙여넣은다음에 Save authentication code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저장되고 연결되면 아래와 같이 설정화면이 변경되고 기존의 인증버튼이 Re-autenticate with your Google account 버튼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분석을 위한 프로파일을 선택할 차례입니다.




Analytics profile 항목에서 Select a profile 선택박스를 클릭합니다.




profile 에서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프로파일에서 분석할 웹사이트 데이터 항목이 선택되어진 상태에서 저장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결이 된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속도와 SQL 쿼리의 관계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서 웹사이트를 제작해서 사용하다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사이트 속도가 느려지는 경험을 하게됩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플러그인과 테마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운영자는 워드프레스의 가장 큰 장점인 플러그인에 매료되어 플러그인을 이것저것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플러그인의 갯수는 계속 누적됩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이나 테마도 PHP 개발환경 속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플러그인과 테마가 동작을 할 때마다가 PHP 프로그램은 구동되고 데이터베이스인 MySQL의 SQL 쿼리(Query)를 수행하게 됩니다. 즉, 플러그인이 많다거나 무거운 테마를 설치했다는 것은 많은 수의 SQL 쿼리가 데이터베이스에 수행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부하를 주는 쿼리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에 따라서 자연히 시스템의 속도는 저하되게 됩니다.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 질의어)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고안되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얻거나 갱신하기 위한 표준 대화식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많은 수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SQL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사이트 속도가 느려졌다면?


워드프레스 사이트 속도가 느려졌다면 운영자가 취해야하는 행동은 두 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웹사이트 속도를 느리게하는 플러그인이나 테마를 찾아내서 제거하는 일입니다.
두번째는 워드프레스를 구동시키는 웹호스팅 서버의 하드웨어적인 상황을 점검해 보는 것입니다.

첫번째로 이야기한 웹사이트 속도를 느리게하는 원인 프로그램을 찾아내는 것은 이전에 P3 플러그인을 활용한 워드프레스 성능 최적화 방법에서 설명드렸습니다. 아래 포스팅 내용을 참고바랍니다.




웹호스팅 환경 점검은 어떻게?


위에서 언급한 첫번째 방법을 활용해서도 워드프레스 사이트 속도가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두번째 방법으로는 워드프레스 서버 환경이나 용량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웹호스팅 서버의 환경을 점검할 때 PHP 프로그램의 함수인 phpinfo()를 사용합니다. 워드프레스는 PHP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PHP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서버 점검이 가능한 것입니다.




phpinfo() 함수로 웹호스팅 환경 점검하기


PHP 프로그램의 함수인 phpinfo()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PHP 파일을 하나 만들어야 합니다. PHP 프로그램 파일을 만들때 일반 윈도우 메모장을 이용해도 좋지만 가능한 HTML 및 프로그램 작성이 간편한 HTML 편집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료로 사용가능한 에디터 프로그램은 국내 아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한 아크로에디터(AcroEdit)나 서브라임텍스트가 있습니다. 저는 서브라임텍스트를 권장합니다. 여기에서는 서브라임텍스트를 사용하겠습니다.

서브라임텍스트는 아래 포스팅 내용중에 다운받는 곳이 설명되어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phpinfo.php 파일 만들기


먼저, 아래와 같이 서브라임텍스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뒤에 File > New File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제는 Ctrl+S 단축키를 눌러서 phpinfo.php 하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아래와 같이 PHP 코드를 작성한 뒤에 Ctrl+S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웹호스팅 서버 디렉토리에 업로드 하기


phpinfo 파일이 만들어졌다면 웹호스팅 서버에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서버 업로드 폴더 경로는 www로 접속한 디렉토리입니다.



웹호스팅 서버 정보 웹브라우저에서 확인하기


웹브라우져를 열고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자신의 사이트에 접속하려면 자시의 웹사이트 주소뒤에 다음과 같은 경로가 붙어야 합니다.



웹브라우져를 열고 접속하니 웹호스팅 정보가 아래 화면과 같이 나타납니다. 브라우져 스크롤을 하면 아래로 웹호스팅 서버 환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맨 상단에는 PHP 버전이 나타나 있습니다. 서버의 정보를 불필요하게 노출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아래 화면은 마스킹 처리를 하였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사용시 권장하는 PHP 버전은 5.24이상입니다. 5.3이상이기 때문에 PHP 버전은 문제가 없습니다.




운영자는 웹브라우저에 나타난 웹호스팅 서버 상세 정보를 검색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 메모리 용량 확인하기


웹호스팅 서버의 메모리 용량이 너무 작아서 워드프레스 속도가 느릴 수도 있습니다. 특히 64MB 정도의 용량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용량을 확인해서 작다면 증설해야 합니다. 메모리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웹브라우저 화면에서 Ctrl+F 로 memory_limit 로 검색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memory_limit 항목에 서버의 메모리가 검색되었습니다. 현재 서버의 메모리 용량은 128MB 입니다. 메모리 용량이 더크면 좋겠지만 일단 128MB 정도면 무거운 테마를 구동하지 않는 이상 기본적으로 워드프레스를 구동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워드프레스 메모리는 가능한 128MB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서버의 MySQL 버전 확인하기


웹브라우져에서 mysql로 검색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MySQL 버전은 5.1입니다. 워드프레스는 MySQL 버전은 5.0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파일 업로드 용량 확인하기


파일 업로드 용량 설정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로 설정되어있습니다. 하나는 워드프레스에서 첨부할 수 있는 파일의 최대 크기를 설정한 것이고, 또하나는 웹호스팅 서버에서 파일업로드시 최대 파일 크기를 설정한 곳입니다.

웹브라우져에서 post_max_size로 검색합니다. post_max_size는 워드프레스 시스템을 사용해서 업로드할 수 있는 최대 파일의 크기를 설정한 곳입니다. 현재는 21M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웹브라우져에서 upload_max_filesize로 검색합니다. upload_max_filesize는 웹호스팅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는 최대 파일의 크키입니다. 현재는 21M입니다.




정보 확인후 파일은 삭제하기


가능한 사용한 phpinfo.php 화일은 서버에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굳이 자신의 서버정보를 외부에 공개할 필요는 없습니다.
서버에 대한 정보를 고스란히 노출하는 것은 시스템 보안상 결코 좋은 방법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사이트 항목에 검색이 되게 하려면?


네이버에서 자신의 웹사이트 이름으로 검색을 할 때 아래와 같이 사이트 항목에 검색이 되게하려면 네이버 마이비즈니스 서비스에 등록을 해야합니다.
과거 네이버의 검색등록 서비스 이름이 네이버 마이비즈니스로 변경되었습니다. 네이버 마이비즈니스로 웹사이트를 등록하는 과정은 간단합니다. 네이버 회원가입과 자신의 웹사이트 도메인만 있으면 됩니다. 



네이버 마이비즈니스 서비스에 검색등록하기


네이버 검색창에서 네이버 마이비지니스라고 검색한 뒤에 지금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또는 네이버 마이비지니스 서비스에 바로 접속해도 됩니다.
네이버에 로그인해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이 되어있지않다면 가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네이버 검색등록 신청을 하기 위해서 신규등록 메뉴를 클릭합니다.




네이버 마이비즈니스의 신규 등록 방식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은 웹사이트를 네이버 검색에서 보이게하려하기 때문에 두 번째 등록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내 사이트의 중복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URL을 입력하고 중복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중복확인이 되었고 등록신청이 가능한 URL이라는 안내 문구가 나타납니다. 신규 등록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네이버에 등록된 자신의 휴대폰으로 휴대폰 인증을 해야합니다. 등록인증 받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증 버튼을 클릭해서 인증을 진행합니다.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분류는 분류 검색버튼을 클릭해서 검색합니다. 분류는 사업자라면 사업자등록 시점의 종목명으로 선택하면 되고 사업자가 아닐 때는 사이트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분류를 검색합니다.





등록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검색서비스 반영까지는 업무일 기준으로 5일 정도가 소요되고, 네이버에서 검토 후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링크는 먼저 주는 선물


링크는 선물입니다. 검색엔진이 자신의 웹사이트에 후한 점수를 주는 것은 자신의 사이트가 권위있는 사이트에서 링크되어지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처음 만들어진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검색엔진과 사람들이 찾아내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자신이 먼저 글을 작성할 때 다른 사이트를 링크해주는 것입니다. 자신의 페이지에 링크를 걸었다고 싫어할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링크는 그 사이트에 대한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많이 링크된 사이트는 검색엔진 입장에서는 중요한 사이트로 인식될 수 밖에 없습니다. 

검색엔진이 보기에 좋은 사이트가 되기위해서는 자신의 웹사이트의 컨텐츠가 좋아야하는 것은 기본이고 가능하면 다른 사이트에게 링크 선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고 특별히 필요하지 않은데 링크를 남발하는 것 역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링크는 관리해야만 한다


웹사이트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에 정보의 정확성은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웹사이트에 글을 쓰면서 링크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깨진 링크가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입니다. 사용자가 자신의 사이트에서 글을 읽다가 링크를 클릭했을 때 '해당 웹페이지를 사용할 수 없음' 이라는 페이지 보게되면 당혹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은 깨진 링크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이트의 신뢰성에 좋은 점수를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깨진 링크를 관리해야만 합니다.



깨진 링크를 찾아내라! Broken Link Checker 플러그인 설치하기


워드프레스에서 깨진 링크를 찾아내는 플러그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40만명 이상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 링크 관리에 대표적인 플러그인이라 할 수 있는 Broken Link Checker 플러그인을 사용하겠습니다.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플러그인 추가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플러그인 검색 창에서 broken link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두번째 검색된 Broken Link Checker의 지금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플러그인을 활성화' 링크를 클릭해서 설치를 완료합니다.




Broken Link Checker 설정하기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설정 > 링크 검사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링크 검사기를 클릭하면 깨진 링크 체크의 일반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상태 항목을 보면 아직까지 깨진 링크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번 부분은 깨진 링크가 발생했을 때 메일로 알려주는 옵션입니다. 1번에 체크를 하면 깨진 링크 발생시에 관리자에게 메일을 발송합니다. 2번 부분에 체크를 하면 글을 쓴사람의 페이지에 깨진 링크가 발생하면 글쓴이에게 메일을 보내게 하는 옵션입니다. 3번 부분은 워드프레스 관리자 메일과 별도의 메일로 깨진 링크에 대한 메일을 받고 싶을 때 입력란에 메일주소를 넣는 란입니다. 별도의 메일로 통보를 받고 싶다면 3번 입력창에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수정을 완료하면 변경 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인 할 링크 종류


이번에는 두번째 탭인 확인 할 링크탭을 클릭합니다. 이곳은 깨진 링크를 확인할 종류와 상태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링크 종류란 글인지 게시판이지등을 말하면 글 상태는 발행등의 상태를 말합니다.  검사할 항목을 체크한 뒤에 저장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검사할 링크 타입


검사할 링크 탭은 링크의 타입을 지정하는 곳입니다. HTML 링크 외에 유튜브나 Vimeo 비디오에 대한 깨진 링크를 검사하려면 체크하고 저장버튼을 클릭합니다. 나머지 탭 옵션은 그대로 둡니다.




깨진 링크 상태를 확인하려면


깨진 링크 설정을 하였습니다. 깨진 링크의 확인을 하려면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도구  > 깨진 링크들 메뉴를 클릭합니다.



깨진 링크를 조회할 수 있는 목록화면이 나타납니다. 깨진 링크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링크가 깨져서 조치가 필요하다면 아래 화면에서와 같이 링크 URL을 편집할 수도 있고 링크를 해제할 수 도 있습니다. 다시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즉시 해당 링크에 대해서 깨진 링크를 진행하게 됩니다. 수작업으로 다시확인을 하지 않아도 Broken Link Checker는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깨진 링크를 검사해서 이 화면에 리포트합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


구글 웹마스터 도구는 구글의 검색 결과에 자신이 만든 콘텐츠와 웹사이트가 노출되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일종의 웹사이트 관리 및 튜닝 도우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를 잘 활용하면 검색엔진의 최적화와 사이트 운영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크롤링과 색인 관련 기능 및 검색어 트래픽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할 것입니다. 만약 아직 구글 웹마스터 도구 서비스에 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먼저 가입을 해야합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 등록하기


구글에서 아래와 같이 검색한 뒤에 링크를 클릭합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가입이 되었다면 링크 클릭 시에 자동으로 웹마스터 도구 화면으로 이동될 것입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의 Search Console 화면이 나타납니다. Search Console 시작하기 라는 화면은 내 사이트를 등록하는 화면입니다. 아래 속성 추가 입력창에 사이트 URL을 입력하여 추가하면 됩니다.



속성 입력창에 등록할 사이트 URL을 입력하고 속성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소유권 인증하기

 
이제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사이트가 진짜 사이트인지 구글 입장에서 소유권 인증하는 절차를 거쳐야합니다. 권장방법과 대체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권장 방법에 따라서 진행하겠습니다. 여기에서 HTML 화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shuman.kr 사이트에 인증 화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입니다. 


대체 방법


대체 방법탭을 클릭하면 HTML 인증화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사이트 인증을 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아래와 같이 도메인 공급업체나 이미 구글 애널리틱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HTML 화일을 업로드 하지 않고도 사이트 인증이 가능합니다.



다시 권장 방법 화면으로 돌아와서 진행합니다. 1번부터 순서대로 진행하겠습니다.


첫째, HTML 화일 다운로드


먼저 아래 1번의 링크를 클릭해서 HTML 화일을 다운 받습니다.


아래와 같이 화일이 로컬PC에  다운로드 되었습니다. 이제 이 사이트 인증화일을 FTP로 shuman.kr 서버에 업로드해야 합니다.



둘째, 인증화일 업로드


FTP를 활용해서 shuman.kr 사이트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를 진행합니다.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아래 화면과 같이 업로드된 인증용 html 화일이 보일 것입니다.




세째, 인증 화일 업로드 여부 확인하기


3번의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shuman.kr에 인증용 html 화일이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번 링크를 클릭합니다.



인증화일이 정상적으로 서버에 업로드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날 것입니다.



이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 등록이 완료된 것입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유자가 성공적으로 확인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아래 부분에 계속 이란 텍스트링크를 클릭합니다.


사이트맵 제출하기


구글 웹마스터 도구의 Search Console 대시보드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제는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을 제출할 차례입니다. 사이트맵을 제출하는 것은 구글 검색엔진에게 내 사이트의 구조를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것으로 검색엔진 최적화에도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오른쪽 아래에 Sitemaps 메뉴를 클릭합니다.

Sitemaps 메뉴를 클릭하면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크롤링 > Sitemaps 메뉴를 클릭한 것과 동일합니다. 등록된 사이트맵이 없기 때문에 오른쪽 SITEMAP 추가/테스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오른쪽에 사이트맵을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제 입력창에 sitemap.xml 이라고 입력을 한 뒤에 Sitemap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맵을 제출하였습니다. 제출하고 나면 사이트맵 목록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접수중이라고 상태가 뜨게 됩니다. 구글에서 승인을 하게되면 승인된 날짜가 뜨게 됩니다.




제작한 사이트맵 XML 화일의 제출


Google XML Sitemaps나 다른 방법으로 사이트맵 XML 화일인 sitemap.xml 화일을 구글에게 제출하면 아래 오른쪽 화면과 같이 제출 및 색인 생성됨 항목이 접수중으로 뜰 것입니다. 이제 구글 시스템에서 승인으로 처리할 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사이트맵을 제출한 지 5분 정도 지나면 제출 항목에 25개 웹페이지 항목이 제출되었다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페이지 탭을 클릭하면 모든 콘텐츠 유형 중에서 웹페이지 유형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시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크롤링 > Sitemaps를 클릭합니다.





그럼 Google XML Sitemaps에서 작성한 사이트맵 XML 화일이 정상적으로 구글에 제출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목록 화면에서 /sitemap.xml 링크를 클릭합니다.



구글에 제출된 사이트맵이 Google XML Sitemaps에서 확인한 것과 동일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


사이트맵이 중요한 이유는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이트맵을 만들어서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하게 되면 구글은 사이트맵을 자신의 검색엔진에 반영하게 됩니다. 사이트맵은 말 그대로 내 사이트를 한 눈에 알아볼수 있게하는 지도라 할 수 있습니다. 내 사이트 지도를 구글에게 제출해서 구글이 내 사이트를 상위에 노출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Google XML Sitemaps 플러그인 설치하기


사이트맵을 수작업성 작업으로 만드는 것은 어렵습니다.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플러그인이 많기 때문에 플러그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에서는 사이트맵 플러그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Google XML Sitemaps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사이트맵을  자동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플러그인 추가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플러그인을 검색하는 키워드 입력창에서 google xml sitemaps 를 입력하고 검색을 합니다. 맨 첫번째 검색된 Google XML Sitemaps 플러그인을 설치할 것입니다. 이 플러그인은 이미 100만명 이상이 설치한 사이트맵 대표 플러그인입니다. 지금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플러그인을 활성화 링크를 클릭합니다.



Google XML Sitemaps 플러그인 사용하기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설정 메뉴 안에 XML-Sitemap 이라는 메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 > XML-Sitemap 메뉴를 클릭합니다.



XML-Sitemap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사이트맵 관리 화면이 나타납니다. 1번 부분을 보면 아직까지 구글에게 사이트맵을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왼쪽 상단에 Search engines haven't been notified yet. 이라는 문구가 나타납니다. 



2번 부분은 만들어지는 사이트맵은 sitemap.xml 이고 경로는 http://shuman.kr/sitemap.xml 입니다.
2번 링크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사이트맵 XML 정보가 나타납니다.


3번에는 사이트맵 Resource에는 도움을 주는 도구들이 링크 되어있습니다. 가장 먼저 사용하게 될 것은 첫번째 있는 구글 웹마스터 도구 일 것입니다.

4번 기본 옵션 부분은 Google XML Sitemaps 플러그인의 기본 설정의 하는 곳입니다. 가령 첫번째 블로그의 업데이트를 Google에 통보 부분에 체크를 하면 사이트에 변경 정보가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정보를 전송할 것입니다. 

기본 옵션 외에도 페이지 추가, 포스트 우선 순위, 사이트 맵 내용, 수집 빈도 설정, 우선 순위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수정한 뒤에는 반드시 맨 아래에 있는 옵션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해야 적용이 됩니다. 옵션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사이트맵 자동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사이트맵인 XML 화일을 생성해서 구글에게 전달할 것입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shuman.kr 사이트를 등록하면 2번 링크에서 보였던 shuman.kr/sitemap.xml 사이트맵 XML 정보를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서도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


SEO를 위한 최상의 도우미 Yoast


워드프레스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서 플러그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최적화 플러그인중에서 가장 유명한 플러그인은 현재 전 세계에서 백만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Yoast SEO 플러그인입니다.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포스팅을 작성하는 개별 글에서 가이드에 따른 최적화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Yoast SEO 플러그인을 사용할 때의 가장 큰 장점은 콘텐츠를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기능입니다. Yoast SEO는 작성하는 콘텐츠의 최적화 정도를 신호등 색상 표시로 알려주어서 현재 콘텐츠 최적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합니다. 콘텐츠 작성이 잘되었다면 초록색 신호등으로 잘못 작성되었다면 빨간색 신호등으로 그리고 중간 정도면 주황색 신호등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의 포커스 키워드(Focus Keyword)와 메타 정보(Meta Description)를 입력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Yoast SEO 설치하기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플러그인 추가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플러그인 검색창에서 yoast 라고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을 합니다. 첫번째 검색된 Yoast SEO 플러그인을 설치하겠습니다. 지금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플러그인을 활성화 링크를 클릭해서 설치를 마무리합니다.



Yoast SEO 사용하기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SEO 메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eneral 메뉴를 클릭합니다.



일반 설정 화면입니다. Start Tour 버튼을 클릭하면 플러그인의 사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설정을 디폴트 설정으로 원복하려고 한다면 Restore Default Settings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두번째 탭인 Your Info 탭을 클릭하면 웹사이트의 이름을 지정 할 수 있고, 사이트가 기업이 운영하는 것인지 개인이 운영하는 것인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항목의 정보를 설정하면 구글 검색엔진에게 전달됩니다.




개별 글화면에서 확인하기


이제 개별 글작성 화면에서 Yoast SEO 플러그인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겠습니다. 기존에 작성한 개별글 화면에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의 화면 옵션을 클릭합니다.



화면 옵션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화면에 보여주고자 하는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됩니다. Yoast SEO를 볼 것이기 때문에 Yoast SEO에 체크를 합니다.



화면 옵션에 체크를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글 하단부에 다음과 같은 Yoast SEO 플러그인 박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최적화 작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콘텐츠 분석 정보에는 빨간색 신호등이 많습니다. 




최적화에 가장 중요한 콘텐츠 분석(Content Analysis) 영역


아래와 같이 콘텐츠 분석 영역은 Yoast SEO를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콘텐츠 분석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은 분석정보에서 제시하는 설명을 잘 읽어보고 자신의 콘텐츠를 수정하는 것입니다. 콘텐츠를 수정할 때마다 Yoast SEO 플러그인은 다시 콘텐츠 분석을 해서 녹색, 주황색, 적색으로 실시간 콘텐츠 상황을 표시합니다. 가능한 초록색이 많이 보이도록 해야겠습니다.



포커스 키워드 입력하기


포커스 키워드는 글의 주제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포커스 키워드를 입력해야 Yoast SEO의 적용이 가능합니다.
포커스 키워드 항목에 '워드프레스' 라고 입력합니다.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과 동시에 아래 콘텐츠 분석정보(Content Analysis) 부분이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초록색 신호등 불이 켜지면서 포커스 키워드가 입력되었다는 메시지와 포커스 키워드가 이전에는 사용된 적이 없어서 좋다는 문구가 나타납니다. 포커스 키워드를 중복해서 많이 사용하면 오히려 검색엔진 최적화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기때문에 Yoast SEO가 가이드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콘텐츠 분석정보 가이드에 따라서 하나하나 확인하면서 작성을 하면 아래처럼 적색으로 들어와 있는 콘텐츠의 대표 신호등 색상도 초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초록색으로 바뀌면 해당 콘텐츠는 구글 검색엔진에 최적화 된 것입니다.



메타 설명정보(Meta Description) 입력하기


메타 설명정보는 콘텐츠의 요약 정보입니다. 신문을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아래와 같이 메타 정보는 일종의 해당 기사를 축약한 정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Yoast SEO에서 메타 설명정보(Meta Description)은 아래 오렌지 박스 부분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본문 내용이 디스플레이 됩니다. 그렇지만 콘텐츠를 제대로 요약하는 정보는 직접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우스를 메타 설명정보 영역위에 가져다 놓으면 오른쪽 끝에 연필 모양의 수정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빈 창이 나타납니다. 이곳에서 콘텐츠를 요약하는 메타 설명정보를 작성하면 됩니다. 




메타 설명정보 자동 생성하기


메타 설명정보란에 매번 동일한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반복적으로 입력하고 싶다면 템플릿 스크립트를 사용해서 일괄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SEO > Titles & Metas 를 클릭합니다.



세번째에 있는 Post Types 탭을 클릭합니다. 글의 Meta description template 항목에 입력해놓으면 모든 글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Meta description template 항목에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를 입력을 하고 맨 아래에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다시 개별 글에가서 Meta Description 항목이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템플릿 스크립트에 의해서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메타 설명정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