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비밀번호 설정 암호해제 방법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은 회사 업무에 필수적이 프로그램인데요. 회사뿐아니라 학생들에게도 무척 유용한 도구입니다.

회사에서 회계나 중요한 데이터 자료들이 많은 경우 엑셀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자료의 경우 비밀번호를 걸어두는 것이 안전한 방법인데요.

실제 국내에서도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는 비용을 들여서 문서DRM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지만 개인이나 중소기업에서는 그렇게까지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한 조치로 문서 보안을 할 수 있는 엑셀 비밀번호 설정 암호해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첫번째 방법


1.먼저 Excel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신 뒤에 [파일] 메뉴를 클릭합니다.


2.왼쪽 메뉴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를 선택한 뒤에 [찾아보기]를 선택합니다.


3.다른 이름으로 저장 팝업이 뜨게되면 하단에 [도구] 메뉴를 눌러주세요.


4.[도구] 메뉴를 누르시면 [일반옵션] 항목이 나타납니다. 그곳을 선택하여주세요.


5.이제 암호를 설정하는 작은 팝업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우리는 다른 사람이 Excel 파일을 열때 암호없이는 볼 수 없도록 할 것이기 때문에 '열기 암호' 부분에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에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암호해제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시 '열기 암호'부분의 입력필드를 모두 지운뒤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6.한 번더 암호를 입력한 뒤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엑셀 비밀번호 설정 이렇게도


아래 그림과 같이 Excel에서 [정보 - 통합 문서 보호 - 암호 설정]을 차례로 선택합니다.


그러면 문서 암호화 팝업이 아래 그림처럼 뜨게 됩니다. 비번을 입력한 뒤에 확인버튼을 선택해서 설정을 완료합니다.


비번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해당 Excel문서를 껏다가 다시 실행시키면 다음 그리과 같이 암호입력 안내창이 나올 것 입니다.


그럼, 중요한 문서는 꼭 비번 설정을 하셔서 안전하게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엑셀 중복값 제거 방법 이렇게

마이크로소프트의 대표적인 오피스프로그램의 하나인 엑셀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입니다. 근래에는 기업이나 관공서에서는 당연 필수 프로그램이고 대학생뿐 아니라 이제는 초등학생들도 IT 정보화 교육차원에서 배우는 학생이 늘고 있는 추세인데요. 

막상 사용하려고 하면 간단한 기능도 어떻게 사용하는지 막막할 때가 많은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미리미리 배워두면 꼭 필요할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겠죠?

오늘은 여러 기능중에서 꼭 필요한 기능중 하나인 엑셀 중복값 제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회사를 다니는 직장인들은 자주 느끼겠지만 마케팅 부서뿐 아니라 일반적인 업무부서에서도 엑셀 시트내에 데이터 중복 처리 작업은 자주 접하는 업무인데요. 

이번 실습을 해보면 기능이 간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실꺼에요. 그럼 함께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엑셀을 실행시켜서 빈 문서 하나를 열어주세요.

그럼 이제 예제 그림과 같이 E4 입력칸부터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데이터 내용을 보면 숫자 50이 세번 중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엑셀 중복값 제거하기

이제 작성했던 샘플 데이터를 아래 점선영역과 같이 마우스로 선택한 뒤에 상단의 메뉴에서 1번 '데이터'를 누르고 2번 '중복된 항목 제거'를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중복된 항목 제거' 팝업이 뜨게 됩니다. 팝업 안의 내용을 보면 '열E' 항목에 체크가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크된 것의 중복처리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확인' 버튼을 눌러서 작업을 시행합니다.

처리 작업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이 메세지창이 나타나는데요. 2개의 중복된 값이 검색되어 제거했다는 안내를 볼 수 있습니다.
숫자 50이 총 세개 였으니 중복된 두개는 없앤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처리 결과를 볼까요? 아래 그림과 같이 제대로 중복 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합열의 중복 내용 처리하기

조금전에는 간단하게 한개의 열에 대한 처리를 하였는데요. 이번에는 복합열로 구성된 차량 소재지와 차종에 대한 시트에서 중복데이타 처리를 진행해보겠습니다.



빈 엑셀 문서를 열고 아래 예제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현재는 '서울 쏘나타' 데이터가 총 4개로 중복된 상황입니다.

데이터 입력이 모두 끝났으면 점선 영역과 같이 마우스로 해당 데이터영역을 선택하고 1번 '중복된 항목 제거' 메뉴를 누릅니다.

이번에도 '중복된 항목 제거' 팝업이 뜨는데요. 이번에는 열이 두개라서 '열E', '열F'가 체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선택했던 열이 많았다면 여러가지 중에서 원하는 열만 선택해서 처리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럼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데이터에 대한 중복 처리가 되면서 아래와 같이 3개의 데이터가 처리 되었다는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확인해볼까요? 아래 그림과 같이 '서울 쏘나타' 부분이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네요.

지금까지 엑셀 중복값 제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렵지 않아서 간단하게 이해가 되시죠?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보네세요. 감사합니다.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해결 방법

근래에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구글의 약진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보다 웹브라우저로 Chrome을 선택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이 사실인데요. 이렇게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려는 유저분들 중에서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라고 말하시는 분들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른 문제는 아니고 일반적으로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체제 버전과 다른 것이거나(윈도우인데 맥용을 다운받는다든지) 사용하는 컴퓨터의 Windows 비트수가 32비트인데 64비트를 내려받든지 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으니 이것들만 확인하시면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저, 오늘 설명드리는 방법과 가이드에 따라서 설치를 하시면 제대로 사용하실 수 있으니 걱정마세요. 사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오세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나 구글에서 검색해서 공식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윈도우10, 8, 7의 64비트 사용자라면

구글의 공식 Chrome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Windows 10/8/7의 64비트이면 'Chrome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되고 맥OS나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면 '다른 플랫폼용 Chrome 다운로드'를 누르면 됩니다. 먼저 윈도우10/8/7 64비트용을 내려받겠습니다.

Chrome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약관 팝업이 뜹니다. '동의 및 설치' 버튼을 눌러주세요.

간단하게 다운로드가 되고 'Chrome을 다운로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메세지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로컬컴퓨터에 파일이 내려받아집니다.

윈도우 탐색기에서 폴더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ChromeSetup.exe 파일을 다운로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는 이 실행파일을 클릭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윈도우가 아닌 맥(MAC),리눅스(Linux)등 다른 운영체제

Windows가 아닌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아래 그림과 같이 '다른 플랫폼용 Chrome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보시는 것과 같이 기타 데스크톱 OS용으로 Windows 32bit나 Mac OS, Linux용 뿐아니라 Android나 iOS등 스마트폰/태블릿용 크롬의 다운로드도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OS에 맞게 다운받아서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과정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래도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하시는 분들의 점검사항

운영체제를 맞게 선택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시 설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컴퓨터 하드드라이브의 공간이 부족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Windows가 설치된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두번째, 간혹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한다면 잠시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사용 중지시켜보세요.

세번째, Chrome을 다시 다운로드 합니다. 간혹 권한이 없다는 메세지가 뜰때는 실제 설치권한이 없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공용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다른사람과 함께 PC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권한을 요청해야 합니다.

사용할수록 Chrome의 편리한점

제가 사용하면서 좋은점은 일단 브라우저가 가볍고 무척빠르다는 점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시다 넘어오신 분들은 바로 체감하실 수 있으실꺼에요.

또하나 빼놓을수 없는 장점은 바로 클라우드 시대에 적합한 브라우저라는 점입니다.
가령 동일 계정으로 Chrome에 로그인한 상태라면 노트북과 집에 있는 데스크톱, 그리고 스마트폰에서도 작업하던 웹페이지나 북마크 및 열려있는탭에 바로 액세스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하면 할 수록 정말 편리한 기능이더라구요. 작업이 끊키지않고 어디에서나 가능하니까요.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보네세요. 감사합니다.

hwp pdf 변환 초간단 방법

요즈음은 문서작업을 할 때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Word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인데요. 아직까지 관공서나 공공기관 그리고 학생들사이에서는 한글 2014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문서작업 할 때 대표적인 국산 소프트웨어인 한컴오피스 제품을 많이 이용하는 것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어려운 소프트웨어기반 중소기업을 살리는 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그런데 hwp 문서를 간혹 pdf로 변환해서 보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혹은 여러가지 문서 형식으로 변환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한컴오피스 한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않아도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hwp pdf 변환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프로그램 하나면 해결이 되는데요. 바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이지 피디에프 에디터 3.0(ezPDF Editor 3.0)입니다. 무엇보다 좋은 점은 제작사인 유니닥스에서 해당 버전을 한시적으로 무료로 공개하고 있으니 무상으로 제공할 때 설치해서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네이버에서 '이지피디에프에디터3.0'라고 입력하고 검색한 뒤에 아래와 같이 공식자료실로 들어갑니다.

이제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로 이동되는데요. 먼저 프로그램을 내려받기 전에 라이선스 사항을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범위가 개인에게는 프리웨어 제품이지만 기업이나 관공서에서는 구매해서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좀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개인에게 무료이기는 하지만 비상업적 목적의 개인사용자와 국내 대학생 및 대학교 교직원에게는 무료로 배포되고 있스비다. 대학 교직원은 직장을 다녀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하시구요.
이 제품은 pdf를 hwp, MS 오피스 문서로 역변환 및 병합 기능 또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설치파일을 내려받습니다.

내려받은 실행파일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해주세요.

이지피디에프에디터3.0 설치하기

ezPDF Editor 설치 팝업이 뜨게되면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소프트웨어의 사용권 계약에 대한 내용이 나타나는데요. 내용을 확인한 뒤 '동의함' 버튼을 클릭합니다.

프로그램의 설치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진행과정 중간에 다음과 같이 'HWP2014 Converter를 설치하였습니다'라는 팝업이 뜨게됩니다. 이 기능이 바로 hwp pdf 변환 프로그램이 추가되는 것입니다. '확인'을 누릅니다.

이제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마침'을 눌러주세요.

윈도우에 시작버튼을 누르니 최근에 추가한 앱이 두가지가 보입니다. 



먼저 '아래아한글 PDF변환기 설정'을 확인해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니 다음과 같이 '아래아 한글 변환 모듈 설정'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특별히 설정할 것은 없습니다.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정도만 확인하면 됩니다. 그럼 이제 이지피디에프에디터3.0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세요.

이지피디에프에디터3.0로 hwp pdf 변환하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ezPDF Editor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심플 팝업이 먼저 뜨는데요. 신규 문서를 만들거나 병합도 가능합니다. 이제, 우리는 변환을 할 것이기 때문에 샘플 한글 문서를 준비해주세요.

저는 다음과 같은 지난 포스팅 내용으로 샘플 문서를 준비하였습니다.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참조글을 참고바랍니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문서 Convert를 할 차례인데요. 아래 'PDF 변환'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팝업 화면이 뜨게되는데요. 왼쪽 상단에 있는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필요한 한글 문서를 선택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제 하단의 'PDF 변환'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오른쪽 진행상태에서 'PDF 생성 시작' 상태가 나타나면서 '인쇄 중입니다' 메세지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인쇄라는 의미는 종이로 프린트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PDF 문서로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시간이 얼마지나지 않아서 진행상태가 '완료'로 뜨면 문서 생성이 끝난 것입니다. '닫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PDF 문서가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할 차례입니다. 윈도우 탐색기로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문서가 제대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문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문서를 클릭하니 어도비 아크로뱃리더(Adobe Acrobat Reader DC)가 실행되면서 정상적으로 문서가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크로뱃리더 DC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서 무료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한컴오피스 한글 문서를 피디에프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네세요. 감사합니다.

컴퓨터 자동종료 명령어, shutdown -s -t 취소와 예약 이렇게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깜빡 잊는 것이 끄는 것인데요. 특히 밤에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잠시 전화나 TV등 다른 일을 하다가 그만 끄는 것을 잊어버리고 취침해버리는 일이 발생하곤 하는데요. 아침까지 밤새 컴퓨터를 켜두게 되므로 전기가 낭비되기 마련인데요.

미리 컴퓨터 자동종료 명령어를 사용해서 세팅을 해두면 미리 지정한 시간에 PC의 전원이 꺼지게되므로 안심하고 잠자리에 들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일을 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을이 있는데요. 오늘은 편리하게 굳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윈도우 운영체제에 내장되어있는 명령어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는 컴퓨터 자동종료 예약하기 기능을 설명드린 뒤에 예약한 것을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윈도우 단축키를 사용하면 되는데요. 키보드의 '윈도우키+R'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실행창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실행창의 입력칸에 'shutdown -s -t 3600'이라고 입력을 합니다.

여기에서 명령어의 설명을 드리면 -t가 초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3,600초라고 입력한 것은 1시간 뒤에 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2시간 뒤에 종료하려면 7,200을 입력하면 되겠죠? 

그럼, 띄어쓰기에 주의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후 엔터키를 누르거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실행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윈도우 트레이에 '로그오프하려고 합니다. 60분후에 Windows가 종료됩니다.' 라는 메세지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자동종료 예약 shutdown -s -t 취소하기

그럼 이번에는 조금전에 자동 예약 종료를 했던 것을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일하게 윈도우키와 R키를 누른다음에 실행창의 입력칸에 'shutdown -a'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거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즉시 화면의 오른쪽 화면에 윈도우 트레이에 '로그오프가 취소되었습니다. 예약된 시스템 종료가 취소되었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뜨면서 shutdown -s -t 취소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윈도우10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굳이 번거롭게 실행창을 띄우지 않고 윈도우시작버튼 옆의 검색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서 사용해도 동일한 기능이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명령어보다 그냥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시려는 분들에게는 아래 타임가드를 추천합니다.

좀더 파워풀하고 제대로 사용하고 싶다면 타임가드를

현재 타임가드는 윈도우 종료분야의 순위가 TOP 1위 프로그램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신뢰받는 프로그램중의 하나입니다. 평점도 5점 만점에 4.3을 받아서 사용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사용하시고자 하면 네이버 검색창에 아래와 같이 검색하신후 아래 표시한 부분을 눌러서 자료실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먼저 다운로드 받기전에 라이센스 관련 사항을 확인하면 개인이나 기업 모두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리웨어제품이니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내려받고 설치하시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유용하게 활용하세요.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이렇게 설치하세요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인터넷 사용은 필수가 되었죠? 요즈음에는 인터넷이 먹통이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하다못해 급한 증명서 발급도 꼭 필요한 정보 확인도 모두 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죠. 

특히 컴퓨터를 포맷하거나 윈도우를 재설치하고서 반드시 해야하는 것이 각종 드라이버 설치인데요. 인터넷을 하기위해서는 랜카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잡아주시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설치인데요. 오늘은 이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니 어렵지않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특히 오늘 설명드릴 3dp net은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에서 드라이버 관리의 TOP5 중에서 1위를 하는 프로그램이니 신뢰하고 사용하셔도 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니 믿을수 있는 것이지요.

드라이버 관리 부분 TOP


먼저 크롬이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등의 웹브라우저를 열고 네이버에서 '3dp net'으로 검색한 뒤에 소프트웨어 자료실에 들어갑니다.

이제 설치할 프로그램이 나오는데요. 먼저 라이센스 관련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죠? 오른쪽에 보면 사용법위가 개인이나 기업 모두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프리웨어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걱정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무료 다운로드'를 누릅니다.

내려받은 exe 실행파일을 클릭해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용량이 100M가 넘기때문에 먼저 압축을 해제하고 설치가 진행됩니다. 압축해제 경로를 크게 중요하지 않으므로 디폴트 상태로 둔 상태에서 'OK'를 누릅니다.

이제 압축이 해제되면서 설치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간단한 사용 방법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3DP Net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현재 설치된 버전은 v17.03 입니다.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설치 방법은 간단한데요. 아래 랜카드 부분에 제가 표시한 부분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자동 설치가 진행됩니다. 

다음과 같이 장치 드라이버 설치 마법사 창이 뜨면 '다음'을 클릭합니다.

드라이버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시간이 조금 걸릴수도 있으니 잠시만 기다리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컴퓨터를 초기화 하거나 윈도우 운영체제 OS를 재설치할 때, 혹은 인터넷 연결에 문제가 있을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페이스북 연애중 설정 방법 이렇게

오랜 기간 솔로로 있다가 운명적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자랑으로 비칠수도 있지만, 지인들에게 자신의 근황을 알릴 필요가 있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직접 모든 사람들에게 일일이 알리는 것도 힘든 일인데요.

 

페북을 사용하는 유저라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연애중 설정으로 자연스럽게 주변 사람들에게 소식을 전할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활용해도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나 구글등의 포탈에서 다음과 같이 검색해서 페이스북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에 로그인하면 오른쪽 상단에 프로필 영역이 나타납니다. 그곳을 눌러주세요.

이제 프로필 화면으로 이동되면 여러가지 설정을 하는 메뉴가 나타나는데 타임라인 옆에 '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에 들어오면 경력이나 거주했던 장소, 연락처나 기본정보등을 추가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페이스북 연애중 설정을 할 것이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한 '가족 및 결혼/연애 상태' 부분을 누릅니다.

'가족 및 결혼/연애 상태' 메뉴를 누르면 오른쪽에 내역을 추가할 수 있는 아이콘과 메뉴가 나타납니다.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을 눌러주세요.

공개 범위를 설정하자

이제 화면이 바뀌면서 결혼/연애 상태 콤보박스와 공개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먼저 '전체 공개' 부분을 누릅니다. 

그러면 전체 오픈을 할 것인지 아니면 친구만 보게 할 것인지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특정 사용자를 제외한다던지 세부적인 권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지정'을 누릅니다.

사용자 지정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공개 범위 사용자 지정' 팝업이 뜨게되고 공유 대상과 공유 제외에 대해서 지정할 수 있씁니다. 일단 여기에서는 전체공개로 할 것이기 때문에 '취소'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결혼/연애 상태 설정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콤보박스를 클릭합니다.

페북에 상태 표시하기

결혼/연애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가 나타나는데요. 연애중 외에도 싱글, 약혼, 기혼, 별겨 중등을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기혼이신 분들은 명확하게 표시하시는 것도 좋겠죠. 그럼, 상태항목을 선택을 하여주시구요.

이제 간단한 메시지와 기념일을 설정할수 있는 입력칸과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곳에 손이 오그라지는 질투심?을 유발하는 메시지를 넣거나, 아니면 기억에 남는 말등을 입력하고 기념일을 세팅한 뒤에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변경 내용이 저장되면 하트 뿅뿅 표시와 함께 페이스북 연애중 표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북에 돌아다니시다 이런 표시 많이 보셨죠? 

하트 아래에는 기념일도 하단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굳이 기념일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다면 설정하지 않으면 됩니다. 그럼 유용하게 활용하세요. 감사합니다.


서버 DNS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인터넷 접속문제 해결방법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간혹 인터넷 접속이 끊키면서 '서버 DNS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인터넷 오류 메세지가 나타나는데요.
갑작스런 이런 상황에 당황하기 일수입니다. 개인적으로 윈도우(Windows)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이런 메세지는 나타날 수 있는데요.

간혹 회선을 관리하는 KT나 SK, LGU+ 등의 망관리회사의 회선 작업때문일 수도 있고 DNS의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을 때도 그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오늘 설명드릴 방법을 사용하면 어렵지않게 인터넷 접속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윈도우에서 제어판을 열어주세요. 윈도우10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시작단추 옆에서 간단하게 검색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제어판이 열리면 '네트워크 및 인터넷' 하위의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메뉴를 눌러누세요.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팝업이 열리면 '제어판 홈' 아래에 '어댑터 설정 변경'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제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화면이 열리는데요. 우리가 설정할 것은 맨 오른쪽에 있는 로컬영역의 이더넷 항목입니다.
이곳에서 DNS 관련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연결 속성

두 가지 방법으로 DNS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첫번째 방법은 아래 그림 처럼 마우스로 '이더넷' 부분을 더블클릭하는 것이고

또 한가지 방법은 이더넷을 선택한 뒤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속성(R)' 메뉴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두가지 방법 모두 동일하니 편리하신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제 이더넷 상태 팝업이 뜨게 됩니다. 여기에서 왼쪽 하단의 '속성(P)'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네트워킹 관련된 여러가지 연결 항목이 나타나는데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부분을 선택합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가 선택된 상태에서 오른쪽 하단의 '속성(R)'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에 대한 속성 팝업이 열리게 됩니다. 현재는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곳을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부분으로 선택합니다.

자신이 가입한 인터넷망 회사별 주소를 입력하세요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부분을 선택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기본 설정 DNS 서버 주소와 보조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각각 4개씩 입력가능한데요. 모두 숫자로 입력해야 합니다. 

이제 이곳에 입력해야하는 DNS 서버의 주소는 인터넷 망공급회사에 따라서 틀린데요. 아래에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KT부터 SK 브로드밴드, LG 유플러스 등의 주소를 적어두었습니다. 

자신이 가입한 회사의 주소를 참고해서 입력한 뒤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인터넷 연결이 정상적으로 될 것입니다. 참고로 빈칸에 입력은 숫자만 가능합니다.

인터넷망 회사
기본 설정 DNS 서버 주소
보조 DNS 서버 주소
KT 
168.126.63.1
168.126.63.2
SK 브로드밴드
219.250.36.130
210.220.163.82
LG 유플러스
164.124.101.2
203.248.252.2
구글
8.8.8.8
8.8.4.4
 
혹시 위의 DNS 주소를 입력하고도 인터넷 접속이 원활하지 않다면 모뎀과 공유기의 전원을 껏다가 한 2~3분 뒤에 다시 켜시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버 DNS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인터넷 오류 메시지가 뜨면서 연결이 않될 때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행복하게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