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라리스 오피스 초간단 다운설치(polaris office 2017)


근래 회사나 개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서들은 doc, docx 등의 워드문서나 xls, xlsx 등의 엑셀 문서일 것입니다. 이제 Office 제품은 누구에게나 컴퓨터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가 된 것인데요. 이런 문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 제품이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MS 제품은 무료가 아니라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유료 제품입니다. 근래 들어서 인기를 끌고 있는 MS의 오피스 365도 유료이기는 마찬가지인데요. 그러다보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찾곤 합니다. 오늘 소개드릴 제품은 바로 폴라리스 오피스 2017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사실 polaris office는 이미 역사가 오래된 제품입니다. 그런데 2017 버전 제품을 출시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요.

그럼 본격적으로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구글이나 네이버등의 검색엔진에서 '폴라리스 오피스'라고 입력한 뒤에 검색해서 나오는 공식사이트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Polaris Office의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제 제품을 내려받기 위해서 다운로드 메뉴를 누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운영체제 별로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을 수 있는데요. 윈도우 시스템이기 때문에 'Windows' 메뉴를 누릅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되면 프로그램 설치시 권장하는 운영체제 사양이 나타납니다. 윈도우7이상을 권고 하고 있습니다. 그럼,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내려받겠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다운로드 폴더에 가면 다음과 같이 설치용 파일이 내려받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exe 파일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폴라리스 오피스 2017 설치하기


설치가 시작되면 다음과 같이 Polaris Office Install 관리자가 실행되면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고 있습니다.


셋업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unpacking 되고 있습니다.


이제 옵션을 설정하는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프로그램 설치 폴더 경로는 그대로 두고 중간에 '문서의 기본프로그램으로 Polaris Office를 사용합니다.'라는 항목의 체크박스가 체크되어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 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제품이 이미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을수도 있겠죠? 그런 경우에는 MS 오피스를 기본 프로그램으로 써야하니까 다음과 같이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약관에 동의한 뒤에 '설치' 버튼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설치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드디어 설치가 완료되었는데요. 하단에 '글꼴 추가 설치하기' 항목이 있습니다. 추가적인 글꼴이 필요없으신 분들은 저와 같이 체크박스를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하신분들을 체크해서 추가적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제 '완료'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마무리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30일 무료체험하기'라는 문구가 뜨는데요. 개인용 Basic 제품의 경우 계속 무료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개인용' 버튼을 눌러주세요.


회원가입하지않고 편리하게 기존의 구글, 페이스북 계정을 이용하자


이 제품은 로그인해서 사용해야 하는 제품입니다. Login 과정이 필요합니다.



'지금 로그인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계정이 있으신분들은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회원가입이 않되있으신 분들은 아래 '계정 만들기'를 눌러서 회원 가입을 해도되나 기존 구글이나 페이스북 계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회원가입 과정이 번거로우신 분들의 다음과 같이 기존의 구글계정이나 페이스북 계정을 사용해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계정에 로그인을 하면 다음과 같이 폴라리스 오피스 2017 화면이 열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첫화면에 보면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hwp 한글 문서까지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니 크게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


요금제를 확인하자


그럼 마지막으로 요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개인용으로 사용하면 Basic은 무료이지만, 무상으로 제공하는대신에 용량의 제한이 있습니다. 베이직은 월편집 사용량이 60MB이고 폴라리스 드라이브 1GB를 제공합니다.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면 베이직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만약 용량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필요에 따라서 스마트나 프로 요금제에 가입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도 먼저 베이직으로 무료 사용해본뒤에 요금제를 올리는 것이 좋겠죠? 그럼 편리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df 편집 프로그램 손쉽게 사용하기


오늘은 pdf로 작성된 문서를 단순히 보는 것뿐아니라 편집까지 가능한 훌륭한 프로그램을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pdf 문서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어도비의 아크로뱃(Acrobat)이 설치되어있어야 하는데요. 이 제품은 유료라서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럴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찾아보게 되는데요.


그렇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바로 알pdf입니다. 제작사인 이스트소프트는 이 소프트웨어를 프리웨어인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요즈음 경제적인 상황도 넉넉하지 않은 우리같은 서민들에게는 반가운 희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pdf 편집이 가능한 알pdf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나 구글등의 포탈사이트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한 뒤에 네모 박스부분을 누릅니다.


그러면, 바로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로 연결되는데요. 다음 그림과 같이 사용범위가 프리웨어이고 개인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알PDF 설치하기


이제 내 컴퓨터의 다운로드 폴더에 보면 다음과 같이 설치파일이 내려받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exe 실행파일을 눌러서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알PDF 설치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 동의 팝업이 뜨는데요. 내용을 확인하고 '동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설치를 시작할텐데요 지금 설치하는 버전은 1.1 버전이네요. 그럼 '설치 시작'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방법을 선택하는 옵션인데요. 하단 부분에 제휴 서비스 부분이 있습니다. 필요하신분들은 체크하시고 필요없으시면 저와 같이 해제하신 뒤에 '빠른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용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설치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그런데 알툴즈에서 제공하는 알캡쳐를 설치할 지 제안하는 체크박스가 뜨네요.

필요하신 분은 체크하시면 되구요. 당장 설치가 필요없으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해제한 뒤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의 바탕화면에 알pdf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그럼 아이콘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pdf 편집 문제없다. 그리고 변환과 병합기능까지 굿!


드디어 ALPDF가 실행되었네요. 알PDF는 무료이지만 막강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품입니다.


제작사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 제품은 PDF 편집 기능뿐아니라 새로운 PDF 문서를 생성할 수 있고 PDF 문서를 병합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놀랍게도 여러가지 형식의 문서로 문서 내보내기 기능도 가진 훌륭한 제품입니다.

무료라고 해서 기능까지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요. 다만 개인이 아닌 기업의 경우에는 구매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언제나 그럿듯이 요즈음에는 라이센스 정책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보내기와 같은 막강한 기능을 지닌 ALPDF 제품


상단의 도구바를 보면 hwp문서나 MS 워드문서인 doc, docx 파일로도 변환이 가능하고 심지어 엑셀과 파워포인트 문서 형식인 xls, xlsx와 ppt 형식으로도 변환이 가능합니다.

여러가지 기능을 가지고도 무상으로 제공되니 편리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MS 워드 뷰어 간단 설치방법


오늘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뷰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S 워드 파일은 파일확장자가 doc, docx 라는 확장자를 가지게 됩니다. 이런 확장자를 지닌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 제품이 컴퓨터에 설치되어있어야 하는데요. 

오피스 제품이 유료이기때문에 비용을 고려해서 실제 PC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급하게 doc, docx 워드문서를 봐야할 때 유료인 오피스를 설치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 때 간단하게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바로 MS오피스 제작사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MS 워드 뷰어 입니다.

Word Viewer는 또한 문서 열람외에도 프린트 기능도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할 때 A4지에 출력해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설치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간단하게 따라하시면 됩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MS Word Viewer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먼저 Word Viewer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사이트에 접속해야 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엔진에서 아래와 같이 검색한 뒤에 '다운로드센터'를 누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센터가 나오면 검색창에 'word viewer'라고 입력해서 검색합니다.


결과 페이지에서 네모 박스친 Word Viewer 부분을 클릭합니다.


이제, MS 워드 뷰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일단 설치를 하기전에 시스템 요구 사항 부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지원되는 운영 체제는 윈도우 XP 서비스팩2 이상이네요. 

요즈음에는 대부분 윈도우10이나 윈도우7 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겠습니다.


그럼, 설치를 시작하겠습니다. 옵션에서 언어는 한국어로 선택한 뒤에 다운로드 버튼을 누릅니다.


Microsoft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라는 제안하는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추가하지 않을 것이므로 체크박스를 해제한 상태에서 '건너뛰고 다음 단계 진행' 버튼을 누릅니다. (제안 프로그램중에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등도 있으니 혹시 필요하신분들은 체크해서 함께 설치해도 무방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치파일이 컴퓨터에 다운로드되면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시작되면 Microsoft 소프트웨어 사용권 조항 동의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동의에 체크하고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번에는 최종 사용자 사용권 계약 사항에 대한 동의내용입니다. '동의함'에 체크한 뒤에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제 MS 워드 뷰어를 설치할 하드 디스크를 선정하고 설치할 위치를 선택하면 됩니다. 선택이 되었다면 '설치' 버튼을 눌러서 진행하면 됩니다. 


이제 아래 화면과 같이 진행되고 나서 완료되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doc, docx 파일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골드웨이브(goldwave) 오디오편집 다운로드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음악을 편집할 수 있고 일반인들이 오디오편집 분야에서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소개드려고 합니다. 이 제품은 바로 골드웨이브(goldwave)인데요. 외국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지만 강력한 기능으로 국내에서도 인기가 많은 제품입니다.


먼저 기능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음악이나 영상의 재생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강의실에서 강의 내용을 녹음하거나 녹음된 음성 파일이나 음악파일을 자르고 붙여넣기 기능으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녹음한 파일을 편집하는데 그만인 프로그램이죠. 또한 오디오 편집을 지원하는 음원파일이 flac부터 ogg, mp3등 다양해서 어떤 좋류의 음악파일도 편집이 가능합니다.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이 여러가지 있지만 골드웨이브가 Top5중에서 1위로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이네요. 언제나 사람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기능이 어느 정도 검증되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프로그램을 내려받아서 설치해보겠습니다. 네이버소프트웨어 자료실에 들어가서 아래 그림과 같이 '골드웨이브'로 검색합니다. 결과에서 GoldWave를 눌러주세요.



이제 GoldWave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셰어 프로그램이니 오른쪽 라이센스 정책을 확인하시구요.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실행파일이 다운로드되면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설치 과정에 특별히 어려운 것은 없습니다.


Install 팝업이 뜨면 '다음'버튼을 클릭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


프로그램을 설치할 폴더명고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인데요. 디폴트로 둔 상태에서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옵션 부분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에서는 세개의 옵션 항목이 있습니다.  



앞에 두개가 디폴트로 체크되어있는데 디폴트 상태로 둔 상태에서 '마침'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진행되면 다음과 같이 'Installation Complete' 팝업이 나타납니다.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이제 윈도우10 시작단추를 눌러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겠습니다. 다른 윈도우 버전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프로그램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서 현재는 버전 v6.27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로딩되고 실행된 화면을 보면 오디오편집 소프트웨어답게 무척 많은 기능아이콘들이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비록 영문이지만 아이콘 모양이 함께 있어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어렵지 않게 추론해서 알 수 있습니다.


함께 실행되는 컨트롤(Control) 팝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골드웨이브의 세부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lac mp3 변환하는 쉽고 간단한 방법


요즈음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나 스마트폰의 성능이 높아지면서 원음에 가까운 flac 파일 형태의 음악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flac 파일은 무손실 음원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음질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그렇지만 고음질이다보니 일단 음악파일 용량이 무척 큰 것이 사실이고 모든 음악 플레이어나 앱에서 flac 파일을 모두 지원하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때에 따라서는 용량을 최적화해야하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mp3 파일로 변환을 해서 사용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이때 간단하게 사용하기 편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Freemake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Freemake 공식 홈페이지에서 알리고 있듯이 현재 전세계에서 6천3백만명 이상이나 사용하는 유명한 음원변환 프로그램입니다.


그럼 먼저 프로그램을 내려받기 위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구글 검색엔진에서 'freemake'라고 입력해서 검색합니다. 그 다음 네모 박스 부분을 눌러서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우리가 찾는 프로그램이 여기에 있네요. 공식 홈페이지 화면이 뜨면 아래쪽에 'Freemake Video Converter'라는 부분을 누릅니다.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버튼이 보입니다. 'Free Download'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내려받아 주세요.


컴퓨터에 실행파일이 다운로드되면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먼저 사용 언어를 선택해야 하는데 옵션에 한국어는 없기 때문에 디폴트인 영어 상태에서 'OK' 버튼을 눌러서 다음단계로 이동합니다.


이제 Setup을 시작하는 화면입니다. 오류 발생시 통계용 자료를 보낸다는 부분의 체크박스가 있는데, 아래 체크  해제한 뒤에 'Next'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설치 옵션 단계에서는 필요한 것만 설치하기 위해서 'Custom installation' 항목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 경로는 디폴트 상태로 둔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다른 폴더에 설치하시려면 경로를 바꾸어도 무방하겠습니다.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화면이 나타나는데 설치하지 않을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체크박스를 해제한 뒤에 'Next'버튼을 눌러서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설치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flac mp3 변환할 수 있는 오디오 컨버터의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Finish' 버튼을 눌러서 모든 과정을 마칩니다.


Freemake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동시에 아래와 같이 기부에 대한 홈페이지가 열리는데요. 기부하실 분들은 하시면 되구요. 그렇지 않다면 그냥 패스해서 넘어가시면 됩니다.


freemake 오디오 컨버터로 flac mp3 변환하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그럼 무손실음원 파일을 mp3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저는 제가 가지고 있는 비틀즈의 Yesterday 음반의 음원 파일을 변환하겠습니다.

변환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아래와 같이 먼저 변환할 파일을 아래 'Audio' 아이콘을 눌러서 추가해도 되구요.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파일을 드래그해도 됩니다. 저는 드래그 하겠습니다.


파일을 드래그하자 아래와 같이 손쉽게 추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변환할 차례인데요. 아래 'to MP3'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아래와 같이 팝업창이 뜨는데요. 여기에서 변환하는 mp3파일의 음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옵션을 보면 다음 화면 같이 여러가지 음질로 변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원하는 음질을 선택해도되고 디폴트 상태로 두어도 무방합니다. 



저는 디폴트 상태로 두겠습니다. 그리고 'Convert' 버튼을 눌려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mp3 변환 작업이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음원 컨버전 작업이 간단하게 성공되었네요. 그럼 정말 컨버전이 잘되었는지 확인할 차례이죠?


컨버전된 폴더로 가서보니 파일사이즈는 무손실음원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그럼, 아래 변환된 mp3파일을 클릭해서 음악을 재생해보겠습니다.


음악을 재생하니 아래와 같이 잘 들립니다. 저는 막귀여서 음질도 큰 차이를 못느끼겠더라구요. 물론 음악애호가 분들은 차이를 느끼시겠지만요. 그럼 간단한 오디오 컨버터 freemake를 편리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Freemake 공식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실 분들은 아래 주소를 참조하세요. 감사합니다.



함께하면 좋은글

  1. GM HDD SCAN으로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검사하자
  2. 컴퓨터 바이러스 없애는 법 어렵지않다
  3. 한컴오피스 네오 체험판 설치하고 무료사용하기
  4. hwp파일 열기 한컴오피스 뷰어(NEO) 다운으로 해결하기
  5. 엑셀 pdf 변환 정말 쉬운 방법
  6. 오토캐드 학생용 3년간 무료로 이용하자


컴퓨터 온도 측정 프로그램은 CPUID HWMonitor


오늘은 무척 유용한 컴퓨터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할 컴퓨터 온도 측정 프로그램은 CPUID HWMonitor 인데요. 특히 무더운 여름날에 컴퓨터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서 오작동을 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날씨가 무덥지 않아도 컴퓨터내에 통풍이나 청소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면 컴퓨터 CPU나 하드웨어의 온도가 과열되어 고장이 나기도 하지요.

이럴때 필요한 것인 CPUID HWMonitor 프로그램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컴퓨터의 CPU 온도와 그래픽카드나 저장장치인 하드디스크나 SSD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항상 체크하셔서 컴퓨터를 안전하게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구글이나 네이버등의 검색사이트에서 'CPUID'라고 검색한 뒤에 나오는 공식사이트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다음과 같이 공식사이트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SOFTWARES 메뉴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겠습니다.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하단에 서브 메뉴로 'HWMonitor'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곳을 눌러주세요.


이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화면을 스크롤해서 아래쪽으로 내리면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를 내려받는 곳이 두 군데 있는데요. 첫번째 1번 부분은 64비트와 32비트가 함께 포함된 설치 파일일고, 두번째 2번 부분은 압축파일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압축파일을 해제하면 32비트와 64비트 설치파일이 따로따로 존재합니다. 두 가지 방법 중에서 편한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첫번째 1번 부분을 눌러서 이용하겠습니다.


첫번째 파일 부분을 누르니 exe 실행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고, 'DOWNLOAD NOW!'버튼을 클릭하니 아래 그림과 같이 실행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이 파일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참고로 두번째 파일을 내려받으면 zip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됩니다.


해당 압축파일을 해제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32비트와 64비트 버전의 설치 파일이 따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윈도우의 비트수를 확인하시려면 포스팅 맨 아래에 있는 관련글을 참조바랍니다.)


CPUID HWMonitor 설치하기


설치파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의 설치경로를 지정하는 팝업화면이 나타납니다.



디폴트로 둔 상태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시작 메뉴 폴더 역시 디폴트로 둔 상태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단계로 이동합니다.


데스크탑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만들 것인지 세팅하는 곳입니다. 체크한 뒤에 'Next'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모든 설치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Install' 버튼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네요. 'Finish' 버튼을 눌러서 모든 과정을 마무리합니다.


프로그램 사용하기


컴퓨터 바탕화면에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을 눌러서 컴퓨터 온도 측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겠습니다.


드디어 CPUID HWMonitor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컴퓨터나 CPU 별로 온도와 전압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tel Core 부분을 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CPU의 전압과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더 아래쪽으로 내려보니 하드디스크나 SSD의 온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폭염의 여름이나 컴퓨터의 팬 고장등으로 하드디스크가 과열되어 고장날 때가 종종 있는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그런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유용하게 사용하세요.


관련글

  1. 윈도우10 운영체제 32비트 64비트인지 확인하기
  2. GM HDD SCAN으로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검사하자
  3. 3dp chip 쉽고 친절한 다운로드와 사용방법 안내

넷프레임워크 4.0 간단 다운로드 및 설치법


윈도우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꼭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있는데요. 오늘 소개할 프로그램이 바로 그런류의 제품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net framework 입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중요한 소프트웨어나 응용프로그램, 혹은 게임을 실행할 때 필수인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히 .net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응용프로그램들을 사용할 때 .net framework 설치가 필요하다는 안내 메세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럴때는 간단하게 지금 설명드리는 넷프레임워크 4.0 을 설치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프로그램을 다운받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사이트로 이동해야 합니다. 웹브라우저를 열고 아래 주소로 접속합니다.


화면이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다운로드 센터 홈페이지로 이동되면 검색창에서 'Microsoft .NET Framework 4(웹 설치 관리자)
'을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검색 결과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네모 박스친 'Microsoft .NET Framework 4'부분을 누릅니다.


Microsoft .NET Framework 4 인스톨하기


이제 넷프레임워크 4.0을 다운로드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4.0 버전 정도만 있어도 웬만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악성코드가 있을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받지 말고 지금과 같이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를 이용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MS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니 걱정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언어 선택 항목은 '한국어'로 선택한 뒤에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으면 됩니다.


먼저, 시스템 요구 사항을 확인해보니 윈도우 XP 서비스팩3 이상이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요즈음에는 사람들이 거의 윈도우7 이상을 사용하는 만큼 근래 사용하는 대부분의 윈도우에서 가능한 셈입니다.


이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MS에서 추가적으로 다른 소프트웨어 인스톨(install)에 대한 제안하는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크게 필요한 것이 없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고 '건너뛰고 다음 단계 진행' 버튼을 누릅니다.

만약 MS에서 제안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체크하신 뒤에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화면이 변경되면서 자동으로 인스톨 프로그램이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PC에서 이 실행파일을 클릭해서 넷프레임워크 4.0을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과정에 특별히 어려운 것은 없지만 인스톨시간은 컴퓨터 사양에 따라서 조금 걸릴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DWG trueview 2017 쉽게 무료 다운로드하자


안녕하세요? 제트슈만입니다. 오늘은 캐드파일을 무료로 열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이번에 소개할 프로그램은 DWG trueview 입니다.

확장자가 dwg인 것은 오토데스크사에서 제작한 오토캐드(AutoCAD)의 파일입니다. AutoCAD는 건축분야나 기계 분야에서 설계나 디자인할 때 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죠.


DWG 파일을 열어보기 위해서는 AutoCAD가 설치 되어있어야 하는데 해당 제품은 유료 프로그램이라서 만약 캐드파일을 열어보는 읽기 용도로만 사용한다면 뷰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캐드뷰어 프로그램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오늘은 AutoCAD 제작사인 오토데스크에서 만든 제품을 소개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오토데스크'라고 입력해서 검색합니다. 그러면 오토데스크코리아 공식사이트가 나오는데요. 눌러서 들어갑니다.


그러면 오토데스크 공식홈페이지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제 뷰어를 다운받을텐데요 오른쪽 상단의 '메뉴'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메뉴가 나타나구요. 다운로드를 누르면 서브메뉴로 '무료 제품 체험판'이 나타납니다. 그곳을 클릭해주세요.


화면이 이동되면서 오토데스크에서 제공하는 여러가지 무료 체험판 소프트웨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면 아래쪽에 보면 최고의 DWG 뷰어가 있습니다. 표시한 네모 박스 부분을 눌러주세요.


이제 DWG 뷰어를 소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자세한 소개와 설명이 나오는데요. 꼭 한번 읽어보시구요.
뷰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DWG 뷰어' 탭을 눌러주세요.


이제 다음과 같이 화면이 이동됩니다. 여기에 우리가 찾는 DWG trueview 2017 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옵션이 있는데요. 자신의 윈도우 운영체제에 맞게 64비트나 32비트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64비트를 선택했습니다. 자기 컴퓨터의 운영체제 비트를 모르시거나 궁금하신분은 포스팅 맨아래 부분에 있는 관련글을 참조하세요.
언어도 선택할 수 있는데 옵션에 한국어는 없기 때문에 영어로 선택한 뒤에 다운로드 버튼을 누릅니다.


다운로드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용량이 661MB 정도 되네요. 용량이 적지는 않지만 조금만 기다리시면 됩니다.



뷰어 설치하기


실행파일을 클릭해서 DWG trueview 설치를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대상 폴더 선택 팝업이 나타납니다. 설치 경로는 디폴트로 둔 상태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Autodesk Self-Extract 과정인데요. 이 과정이 시간이 좀 걸리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설치를 하기위해서 압축파일을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에 느긋하게 기다리시면 됩니다.


드디어 설치 준비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설치를 하면 되는데요. 크게 어려운 것이 없습니다.
하단의 Install 부분을 눌러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그러면 라이센스 및 서비스 계약에 동의하는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지역을 선택하고 동의함에 체크하고 'Next' 버튼을 눌러서 DWG trueview 2017 계속해서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AutoCAD 제작사에서 만든 캐드뷰어 프로그램이니까 믿음이 가지요? 그럼 다음에는 더 유익한 포스팅으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