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강의 70% 할인, 청년지원 프로젝트-힘내라 청춘!


안녕하세요? 슈만입니다. 오랫동안 생각했던 일을 이제야 시작하게 됩니다. 게으름 때문에 미루고 미루던 일이기도 합니다.
그 일은 바로 제가 어떻게 조금이라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까하는 고민에 대한 것입니다.
결국은 제가 하는 일을 통해서 그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시작을 하게 됩니다.

지금 현재 워드프레스에 대한 오프라인 강의는 아래 화면과 같이 여기와 다른 공간인 워드프레스엑스(WordpressX) 사이트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강의는 예전에는 평일에도 하기는 했지만, 근래 들어서 평일에는 제가 여러 업무로 바쁜 관계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토요일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슈만의 청년지원 프로젝트


먼저 드는 생각은 청년에 대한 생각이었습니다. 제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과는 틀리게 요즈음 청년들을 보면 마음이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바늘 구멍과 같은 취업문과 대학에 입학하자마자 취업 공부를 하고 있는 모습때문입니다. 그래도 제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은 여유가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 때도 취업이 어렵다고 하기는 했지만, 지금과는 비교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 시절에는 대학생들의 관심이 모두 취업에 있지 않았습니다. 친구들 중에는 프랑스 문학에 심취했던 친구도 있었고, 낭만을 논하던 시대였습니다. 그렇게 문학에 심취해도 대학 4학년때는 많은이들이 자신이 원하는 회사에 취직하는데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청년에 대한 생각때문에 제가 큰 도움은 되지 못할지언정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일을 하자고 생각한 것이, 바로 이번에 하고 있는 힘내라 청춘!-청년지원 프로젝트입니다.

이번에 진행하는 힘내라 청춘!-청년지원 프로젝트는 수강료를 70% 할인 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국적의 만20세 ~ 만35세 청년이면 모두 지원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리가 많지 않은 관계로 선착순으로 지원을 받습니다. 기간은 3월25일부터 ~ 4월23일까지 진행합니다.

워드프레스 강의 신청방법


오프라인 강의를 신청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아래 화면과 같이 워드프레스엑스 사이트에 접속해서 배너에서 더보기 버튼을 클릭해서 강의 신청화면으로 이동하는 방법입니다.



두번째 방법은 바로 아래 워드프레스 강의 안내와 신청화면으로 바로 접속하는 것입니다.


강의 안내 및 신청화면에 접속한 뒤에는 워드프레스 강의 일정을 확인하고 안내에 따라서 강의를 신청하면 됩니다.


만남의 시간


"내가 분명한 목표를 추구하지 않으면
나는 쉴 새 없이 세상에 추격당합니다.
일단 추격당하면
일생 속도전에 휘말립니다."



"코이라는 물고기는 어항에서 5센티, 연못에서 20센티, 강물에서는 1미터까지 자랍니다. 코이는 어떤 물에서 살지 선택할 수 없지만, 사람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꿈은 사람이 선택하는 환경입니다."



"꿈은 미래를 보는 것이고, 미래가 보여야 갈 수 있습니다.
꿈은 미래를 가리키는 나침판입니다."  - 길을 찾는 사람 中 에서 -

그럼 청년 여러분 오프라인 강의에서 반갑게 만나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슈만 올림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워드프레스 사이트 등록하기


네이버는 전 국민이 사용하는 생활 필수품이 된지 이미 오래 되었습니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만들고, 도메인과 웹호스팅 업체를 선정하여 워드프레스 개발 소스를 모두 웹호스팅 서버로 올렸다면 이미 인터넷 URL을 통해서 자신의 워드프레스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문제가 하나있습니다. 이제 막 제작을 완료한 워드프레스 사이트라면 그렇게 쉽게 네이버에서 검색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자신이 만든 사이트가 유명한 대형 사이트라든지 아니면 콘텐츠가 무척 풍부하지 않는 이상 네이버 검색엔진은 자신이 만든 사이트의 존재를 알 방법이 없습니다.


검색엔진은 주기적으로 크롤링 과정을 거쳐서 자신의 웹사이트와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검색 우선순위를 매깁니다. 그렇지만 콘텐츠도 부족하고 이제 막 제작을 완료한 사이트라면 네이버에게 내 사이트의 존재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은 워드프레스로 제작한 사이트 뿐아니라 모든 웹사이트에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네이버 검색엔진에서 내 사이트가 검색되게 할까요? 답은 바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용하기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는 내 사이트의 존재를 네이버 검색엔진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내 사이트의 URL 주소가 이러하니 네이버 검색할 때 꼭 찾아줘"라고 이야기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럼 네이버 웹마스토 도구를 활용해서 내 사이트 정보를 네이버 검색엔진에게 제출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는 로그인을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을 하면 기존에 등록해놓은 티스토리 사이트 정보가 나타납니다. 예전에는 티스토리 사이트를 등록했지만 이제는 워드프레스로 만든 웹사이트를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사이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정보 입력하기


사이트 추가버튼을 클릭하면 사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자신이 만든 워드프레스 사이트나 웹사이트의 URL을 입력한 뒤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당연히 웹호스팅을 받지 않고 자신의 로컬컴퓨터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하기


두번째는 사이트의 소유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이트 소유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화면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HTML 태그 : HTML 태그를 자신의 HTML 소스안에 붙여넣는 방법
2) HTML 파일 업로드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제공하는 인증용 HTML 화일을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의 루트디렉토리로 올리고 인증하는 방법

여기에서는 2)번 방법인 HTML 파일 업로드를 사용하겠습니다. HTML 파일 업로드 항목에 라디오 버튼을 클릭합니다.




HTML 파일 업로드를 선택하면, HTML 파일을 통한 인증 방법이 나타납니다.
순서는 먼저 인증용 HTML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한 HTML 파일을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로 업로드 한 뒤에, 해당 URL로 접속해서 정상적으로 HTML 인증 파일이 업로드 되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그럼 먼저 아래 HTML 확인 파일 부분을 클릭해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인증용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ML 확인 파일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인증용 HTML 화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이렇게 다운로드한 인증용 HTML을 파일을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의 루트디렉토리에 업로드 하면 됩니다. 루트디렉토리에 대한 설정은 서버마다 틀리지만, public_html로 되어있는 곳도 있고 www 로 되어있는 곳도 있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HTML 인증파일을 FTP 프로그램을 통해서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서버에 업로드를 하였다면 이제는 파일을 업로드한 URL로 접속해서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 지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URL로 접속합니다.




정상적으로 인증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었다면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나타날 것입니다



정상적으로 인증용 HTML 파일의 접속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아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정보 확인하기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 연동된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새로 추가된 사이트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 적색부분의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이제 막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추가했지만 아래 최근 수집 상태 정보에서 DNS 상태가 정상이고, robots.txt 화일이 정상적으로 수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클립스 디버깅 도구로 개발 생산성 높이기


초창기 국내에서 자바 진영을 시작으로 각광받았던 이클립스는 이제는 소스코드 IDE 개발도구로 여러 개발언어에서 가장 유명한 개발 도구가 되었습니다.

디자이너나 퍼블리셔가 담당하는 부분을 넘어서는 부분인 웹프로그래밍이나 서버쪽에서는 일명 프로그래머라하는 웹개발자나 서버개발자들이 있습니다.
퍼블리셔와는 틀리게 웹개발자들은 DB와 서버쪽인 연동된 소스 코딩을 많이 하게됩니다. 현재 국내 웹개발 분야에서는 자바 프로그래머나 PHP 프로그래머, C# 닷넷 ASP 프로그래머들이 주로 포진해있습니다.


웹개발자는 프로그램 코딩을 위해서 에디터 프로그램이나 IDE 개발도구를 이용합니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에디터 프로그램는 에디트플러서(EditPlus), 울트라에디터(UltraEdit), 아크로에디터, 서브라임텍스트(주로 퍼블리셔나 디자이너가 선호)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에디터 프로그램이 가볍고 간단히 사용이 가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코드 어시스트나 디버깅 때문에 IDE 개발도구인 이클립스를 사용하는 것이 개발 생산성 향상에 좋습니다.

프로그램 코딩에 있어서 개발자를 괴롭히는 것 중의 하나는 디버그 작업입니다. 이클립스와 같은 자동화된 디버깅 도구가 없다면 개발자들은 언제나 System.out.println()과 같은 일종의 문자출력 프린트 명령어로 에러나는 부분은 소스상에 적어놓고 테스트를 해야는 번거로움이 있을 것입니다.

※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바랍니다.



이클립스 디버깅 도구 Xdebug


디버깅 도구로는 Xdebug나 Zend Debugger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APM나 오토셋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Zend Debugger 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Xdebug와 Zend Debugger 중에서 Xdebug를 사용해서 이클립스에 연결하겠습니다.


먼저 Xdebug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Xdebug 에서 제공하는 DLL 파일을 설치해야만 합니다.
현재 DLL의 종류는 현재 vc6에서 v14까지 있습니다.


Xdebug를 자신의 서버에 올바르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래의 세 가지 사항은 확인해야만 합니다.

※ Xdebug 설치전 확인 사항

첫째, VC 버전
둘째, PHP 버전
세째, TS라 부르는 Thread Safe Bulid 값

자신의 서버의 사양을 확인하는 작업은 phpinfo() 함수를 통해서 간단하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phpinfo() 함수로 나의 서버에 설치할 Xdebug 사양 확인하기


먼저 이클립스를 구동합니다. 왼쪽 PHP Explorer 윈도우에서 wordpress-eclipse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해서 New > PHP File 메뉴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PHP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윈도우가 나타납니다.
서버의 정보를 확인할 phpinfo.php란 더미 파일을 하나 만들 것입니다.

파일 이름란에 phpinfo.php 를 입력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phpinfo.php란 새 파일이 열립니다.



아래와 같이 PHP 소스코드를 입력하고 Ctrl+S로 해당 내용을 저장합니다.



이제 왼쪽 PHP Explorer 윈도우에서 phpinfo.php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Run As > 2 PHP Web Application 메뉴를 클릭해서 웹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PHP 웹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Launch URL이 나타납니다. OK 버튼 클릭합니다.



이클립스 화면에 phpinfo.php 화면이 열립니다. phpinfo() 함수를 사용해서 자신의 로컬서버에 대한 정보가 아래 화면과 같이 나타납니다.



화면상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소스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소스보기한 HTML 소스가 나타나면 해당 소스를 Ctrl+C로 복사해둡니다. 이렇게 복사한 소스는 Xdebug 사이트 정보확인 입력창에 입력해서 적합한 Xdebug 버전을 찾는데 사용하게 됩니다.



Xdebug 사이트에서 내 서버의 플러그인 DLL 사양 확인하기


Xdebug 사이트로 이동해서 사용할 DLL 사양을 확인해야 합니다. Xdebug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Xdebug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HTML 소스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에 조금전에 복사한 phpinfo HTML 코드를 붙여넣으면 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붙여넣은 다음에 output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서버에 대한 정보가 나타납니다. 오렌지 박스로 표시한 세 부분이 중요합니다. 
현재 사양은 VC11 이고 PHP 버전은 5.6, TS는 Yes입니다.





이제 Xdebug 사이트에서 아래 download 메뉴를 클릭해서 dll 파일을 다운받는 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저의 경우 VC11, PHP 5.6.0 이고 TS yes이고 64 bit이기 때문에 다운받는 페이지에서 PHP 5.6 VC11 TS(64 bit)를 내려받으면 됩니다.
조금전에 조사한 방법으로 자신의 서버 사양에 맞는 dll을 다운로드 하면 됩니다.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니 아래와 같이 파일이 로컬에 다운로드되었습니다.


이 파일을 서버가 있는 오토셋의 dll 관리 폴더에 복사해야 합니다.
php_xdebug-2.4.0-5.6-vc11-x86_64.dll 파일을 AutoSet9 > server > bin > ext 로 이동해서 아래 화면과 같이 붙여넣기를 합니다.








php.ini 파일에서 XDebug 정보 세팅


이제는 서버의 php.ini 파일을 열어서 설정을 해야합니다.
AutoSet9 > server > conf 폴더로 이동해서 php.ini 파일을 오픈합니다.




php.ini 파일을 열어서 맨 마지막 라인에 추가합니다. 포트는 기존에 사용하지 않는 포트인 9001번을 넣었습니다.







이클립스에서 디버그 환경 설정하기


이클립스를 열어서 Window > Preference 메뉴를 클릭합니다.




Preferences 화면에서 PHP >  Executables 메뉴를 선택한 뒤에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새로운 PHP Executable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름 란에 아래와 같이 Xdebug라 입력하고 Browse 버튼을 클릭해서 아래와 같이 php 실행 파일과 환경 파일을 선택합니다. 선택이 완료되면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Xdebug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debug를 선택합니다.



Xdebug 이름 선택하면 Edit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Edit 버튼을 클릭합니다.



두번째 Debugger 탭을 클릭합니다.



Connection Setteings 항목에서 Port 부분을 9001로 바꾸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는 PHP > debug 메뉴를 클릭합니다. PHP Debug 화면에서 오른쪽에 오렌지 동그라미 부분의 PHP Servers... 링크를 클릭해서 Debuger 설정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Debugger에 XDebug가 나타납니다. 




Break at First Line 체크를 해제하고 서버와 excutable 항목을 아래와 같이 선택한 뒤에 Apply 버튼을 클릭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디버그 환경설정 - Debug Configuration


아래 화면에서 벌레 모양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Debug Configuration 메뉴를 클릭합니다.



디버그 환경설정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이름을 Xdebug로 바꿉니다.



Xdebug로 바꾼고 Browse 버튼을 클릭해서 index.php 파일을 선택하고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index.php 파일을 선택하는 것은 디버깅을 시작할 때 이 파일로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Apply 버튼을 클릭하니 왼쪽 메뉴에서 Xdeubg가 생성됩니다. Close 버튼으로 화면을 닫습니다.



벌레모양 아이콘을 클릭한 뒤에 Xdebug 메뉴를 클릭해서 디버깅을 시작합니다. 



디버그가 시작되고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Break point는 설정하지 않았지만 디버그 수행시 소스코드에 설정하면 편리하게 디버깅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클립스에서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이클립스에서 워드프레스 개발환경을 만드는 것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이전 포스팅은 아래 내용을 참고바랍니다.





이제 이클립스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차례입니다. 지난 시간에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이클립스에 웹서버를 연결하였습니다. 이클립스에서 로컬 index 파일 경로로 접속하니 아래와 같이 이클립스 안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화면이 나타났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화면에서 Let's go 버튼 클릭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연결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에서 조금 전에 생성한 MySQL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트 항목과 테이블 접두어 항목은 디폴트 상태로 그대로 둔 뒤에 전송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를 실행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화면에서 워드프레스의 환영 문구가 눈에 띕니다.
'세계에서 가장 확장성 높고 강력한 개인 출판 플랫폼을 사용하는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이제 자신이 만들 사이트 제목과 사용자명을 입력하면 됩니다. 여기에서 간단하게 입력해도 상관없습니다. 추후에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얼마든지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자신이 만들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정보를 입력하고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설치는 정말 간단하게 끝납니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워드프레스 로그인 화면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자신이 만들었던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이클립스안에 워드프레스가 구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클립스 안에서 구동된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사이트보기를 하면 다음이 사이트가 나타납니다.



워드프레스 개발환경, 이클립스에 아파치 서버 연결하기


지난 시간에는 PHP용 이클립스를 설치하고 이클립스에서 워드프레스 소스를 모두 가져왔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클립스에 웹서버인 아파치 서버를 연결하고 워드프레스가 사용할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아래 이전 포스팅을 학습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그럼 이제, 이클립스에서 웹서버인 아파치 서버의 연결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PHP용 이클립스를 구동하고 상단에서 Window > Preferences 메뉴를 클릭합니다.



Preferences 윈도우창이 나타납니다.



왼쪽 메뉴에서 PHP > Servers 를 선택하면 오른쪽 화면에 Default PHP Web Server 항목이 나타납니다.
Default PHP Web Server 항목을 선택한 뒤에 Edit 버튼을 클릭합니다.



Edit 버튼을 클릭하면 PHP Server 환경 설정을 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Server Porperties 항목에서 웹서버의 다큐먼트루트(Document Root)를 설정해야합니다.



Browse 버튼을 클릭해서 아파치가 설치되어 있는 오토셋 폴더에서 다큐먼트루트인 public_html을 선택한 뒤에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OK 클릭을 클릭합니다.



이제 PHP 웹서버를 실행하겠습니다. 왼쪽 PHP Explorer에서 wordpress-eclipse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Rus As > 1 PHP Web Application 메뉴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의 index 파일을 찾는 화면입니다. Browse 버튼을 클릭합니다.



index.php 파일을 선택한 뒤에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덱스 파일을 설정이 되었습니다.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OK 버튼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직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워드프레스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오토셋을 실행한 뒤에 제어 > phpMyAdmin 접속 메뉴를 클릭합니다.



phpMyAdmin 화면에 사용자명과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MySQL에 wordpress-eclipse 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려고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phpMyAdmin 화면에서 데이터베이스 탭을 클릭한 뒤에 새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항목에 wordpress-eclipse 라고 입력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wordpress-eclipse라는 신규 데이터베이스의 생성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워드프레스가 사용할 MySQL 데이터베이스의 준비가 끝났습니다.


워드프레스 개발환경의 구성

워드프레스 개발자가 개발 환경을 구성할 때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워드프레스 개발환경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


워드프레스 개발환경 필수 삼요소

1) 데이터베이스(MySQL, MariaDB)
2) 웹서버(아파치)
3) 웹프로그래밍 개발 언어(PHP)

워드프레스를 구동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위의 세 가지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MySQL, 아파치, PHP를 개별적으로 세팅하는 것은 쉬운일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토셋을 이용하면 세 가지 웹개발환경 구성은 간단하게 끝낼 수 있습니다.
오토셋에 대한 설치 및 환경 구성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바랍니다.



오토셋으로 환경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서 웹사이트 제작에 들어갈 것입니다.
워드프레스의 장점은 코딩작업을 하지 않고 손쉽게 웹사이트나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지만, 실제로 웹사이트의 디테일을 손대게 되면 PHP 프로그래밍은 필수가 되게됩니다.

PHP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결국 코딩을 편리하게 하기위해서 자신에게 맞는 에디터 프로그램을 찾아 사용하게 됩니다. 요즈음에 에디터 프로그램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퍼블리셔나 디자이너가 선호하는 에디터 프로그램은 서브라임 텍스트입니다.

서브라임 텍스트는 정말 훌륭한 에디터 프로그램입니다. 

서브라임 텍스트 외에 한가지 더 추천하고 싶은 개발도구는 바로 이클립스입니다.
이클립스는 자바 진영에서 가장 호평받는 훌륭한 IDE 개발도구입니다. 그렇지만 PHP나 다른 개발환경도 지원합니다.

이클립스를 사용하면 디버깅 도구등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으로 개발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클립스로 워드프레스 개발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클립스로 워드프레스 개발환경 구성하기 - 이클립스 PHP Developer 설치하기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할 이클립스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이클립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이클립스 사이트에서 아래 화면에 연두색 화살표가 가르키는 64bit 메뉴를 클릭합니다.




64 bit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이클립스 인스톨러가 다운로드 됩니다.
(이때 JDK 1.7이나 JRE 1.7 이상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클립스 인스톨러를 클릭합니다.




이클립스 인스톨러가 실행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Eclipse IDE for PHP Developers를 클릭합니다.



PHP용 이클립스를 설치할 폴더를 지정하는 화면입니다. 여기에서는 c:\dev 폴더를 만들고 그안에 eclipse를 설치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폴더를 설정하고 INSTALL 버튼을 클릭합니다.




동의에 관한 내용입니다. Accept Now 클릭합니다.



이클립스 IDE for PHP Developers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이클립스 인스톨이 완료되고나면 LAUNCH 버튼이 보입니다. LAUNCH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클립스 작업폴더를 지정하는 팝업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는 웹서버의 도큐먼트루트 경로를 설정하면 됩니다. 
Browse 버튼을 클릭해서 오토셋의 Document Root 경로인 public_html 폴더를 선택합니다.
폴더의 선택이 완료되면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PHP용 이클립스 구동되고 있습니다.



이제 이클립스의 구동이 완료되었습니다. 우측의 Workbench를 클릭합니다.




이클립스 개발환경인 Workbench 화면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이클립스 PHP 프로젝트 만들기


새로운 PHP 프로젝트 만들기 위해서 File > New > PHP Project 클릭합니다.



프로젝트 이름 wordpress-eclipse 입력하겠습니다.
그리고 JavaScript Support 항목에서 Enable Javascript에 체크한 뒤에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Configuration은 그대로 두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스폴더에 wordpress-eclipse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build path 항목을 확인후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클립스 개발 화면의 왼쪽 PHP Explorer에 wordpress-eclipse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어떻게 폴더가 구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로컬 컴퓨터의 윈도우 탐색기에서도 이클립스와 동일하게 파일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복사하기



이제 wordpress-eclipse 폴더에 다운받은 워드프레스 4.2.2 버전을 모두 복사해서 아래 화면과 같이 붙여넣습니다.






현재 이클립스에서보니 아직 PHP Explorer 화면에는 복사한 소스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클립스 화면에서 리프레쉬의 단축키인 F5 키보드를 누릅니다.
F5로 리프레쉬를 하면 이클립스는 Building workspace 를 진행하면서 소스를 가져옵니다.



이클립스가 소스를 모두 가져왔습니다. 이로써 이클립스에 워드프레스 소스를 모두 가져왔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클립스에서 아파치 서버 연결을 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원데이 강의

안녕하세요? 슈만입니다. 워드프레스 강의에 대한 문의가 있어서 오프라인 강의 관련 안내를 드립니다.
워드프레스 오프라인 강의는 현재 티스토리 블로그와는 별도로 워드프레스엑스(X) 웹사이트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워드프레스 강의는 현재 매주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강의 안내 및 신청 방법은 아래 강의 안내 보기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데이, 단 하루만의 목표


단 3시간 만에 끝내는 속성 강의이지만,
하루 만에 워드프레스에 대한 개념을 잡고, 자신의 웹사이트를 실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시간의 투자로 워드프레스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들이 느끼는 공통점은 조금은 어렵다는 것입니다.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 네이버의 영향력은 절대적입니다. 그렇다보니 사람들은 네이버 블로그에만 익숙해져있습니다.
워드프레스가 어렵다기 보다 익숙하지 않아서 오는 문제입니다.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 블로그와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프롤로그 - 나의 미래는 보장되는가?


이제는 개인 플랫폼의 시대입니다. 100세의 시대는 도래했습니다.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진지는 오래입니다. 최선을 다해서 60세까지 정년을 근무했다고 해도 40년을 더 살아야 하는 시대입니다.

이제 회사가 개인을 책임져주던 시대는 이미 지났습니다.

배낭을 꾸려야 합니다. 두 손으로 신발끈을 단단히 조여야 합니다.
두 다리에 힘을 주고 굳건히 일어서야 합니다. 
그리고, 홀로 자신의 길을 떠나야 합니다.




미래는 작은 기업들의 시대가 될 것이다.


작은 것이 큰 것이다. - 세스 고딘 -

워드프레스를 배우는 것은 미래를 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워드프레스를 공부하면서 투자한 시간은 결코 헛되지 않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제대로 익힌다면 자신만의 일을 꾸밀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가 날개가 되어 자신이 하고 있는 온오프라인 일에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왜 워드프레스인가?


워드프레스는 새로운 일에 대한 생각을 구현하는 도구입니다. 자신이 하는 일에 날개를 달아주는 도구입니다.

요즈음 많은 사람들은 포털형 블로그를 사용합니다. 그렇지만, 포털형 블로그를 운영했던 사람이 워드프레스 등의 전문 CMS 도구로 이동하는 것은 포털형 블로그만으로는 한계를 느끼기 때문입니다.

포털형 블로그인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도 괜찮지만 포털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는 자유도가 워드프레스에 비해서 떨어집니다. 그리고 포털형 블로그는 제공 회사의 정책에 따라서 자신의 블로그가 제한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자신만의 일을 꾸리거나 회사의 웹사이트라면 워드프레스와 같은 CMS 도구가 적합합니다.

워드프레스를 통해서 사이트를 구축할 때의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독립성 - 진정한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꾸릴 수 있다. 블로그나 쇼핑몰, 회사 웹사이트를 쉽게 만들수 있다.
둘째, 디자인 - 자유롭게 퀄리티 높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세째, 놀라운 확장성과 최신성 - 워드프레스는 플러그인 설치로 새로운 IT 기술을 웹사이트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네째, 검색엔진 최적화 
다섯째, 효율적인 콘텐츠 관리 
여섯째, 반응형 디자인




구글트렌드로 본 워드프레스에 대한 국내의 관심도 변화


기이한 현상 중의 하나는 전세계에서 우리나라만 유독 워드프레스가 힘을 못썻던 것입니다. 그 이유에는 사람들이 네이버 블로그를 선호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세계 시장에서 압도적인 블로그나 웹사이트 플랫폼입니다. 이제 워드프레스는 네이버 블로그가 주류인 국내에서도 지난 몇 년동안 급격한 관심도의 증가를 볼 수 있습니다.




전 세계 CMS 시장의 워드프레스 점유율


워드프레스는 전세계 CMS 시장에서 압도적이고 절대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가 다른 CMS에 비해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은 워드프레스가 다른 CMS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입니다.

[ 출처 : W3Tecks.com ]





워드프레스와 새로운 일을 다시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가성비 웹호스팅 업체


웹호스팅 업체를 선정하는 주요 요소중의 하나는 호스팅 비용입니다. 또한 기왕이면 동일한 가격에서 제공되는 서버나 환경의 사양이 높다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가성비 호스팅 비교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이비호스팅의 가입 및 호스팅 신청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비호스팅 가입하기


먼저 웹브라우져를 열고 아이비호스팅 웹호스팅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아이비호스팅의 웹호스팅 서비스 페이지가 나타날 것입니다.



호스팅 서버 환경과 호스팅 서비스 내용을 보면 저렴한 비용임에도 높은 사양의 서버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을 가입해야하므로 회원가입 메뉴를 클릭합니다.



회원을 가입하는 절차입니다. 모두 체크한 뒤에 동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업자가 아니면 개인회원 가입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을 원하면 기업회원으로 가입해야합니다.





본인 인증 버튼을 클릭해서 본인 인증과정을 진행합니다.




정보 입력후 회원가입 버튼 클릭합니다.





회원가입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로그인합니다.



호스팅 서비스 중에서 IVY 2G를 신청하려고 합니다. IVY 2G 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화면 이동후 IVY 2G 아래에 신청하기 버튼 클릭하기



웹호스팅을 신청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동의합니다에 체크하고 서비스 신청 사양을 확인합니다.




계정 용량은 2G이고 DB 용량은 무제한입니다. 하루 트래픽 용량은 2G 입니다. 하루 2G가 넘으면 트래픽이 차단 됩니다.



서버 환경을 선택하는 화면이 있습니다. 최신 사양인 UTF-8에 PHP 5.6과 MySQL 5.6를 선택합니다. 호스팅 가입시 설치파일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워드프레스나 XE 등을 설치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프로그램을 직접 업로드 할 것이므로 업로드안함으로 선택하겠습니다.




계정아이디를 입력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입력하는 계정아이디는 아이비호스팅을 로그인하는 아이디와 다릅니다.
아이비호스팅에 로그인하는 아이디는 하나이지만 계정아이디는 신청하는 호스팅서비스에 따라서 여러개가 될 수 있습니다.

계정아이디는 FTP 아이디가 되는 것과 동시에 아이비호스팅에서 제공하는 무료 도메인의 주소가 됩니다.

계정 정보입력후 서비스 이용기간 및 비용을 선택합니다. 1년을 선택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결제는 크롬브라우저에서 되지 않으므로 익스플로어에서 진행합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하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결제 방법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클릭하고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최종 서비스 사양 신청내역을 확인하고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렇지만 크롬브라우저에서 진행했다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날 것입니다.




익스플로어 브라우저를 열고 마이페이지 > 결제관리 및 확인 > 서비스신청 진행목록 메뉴를 클릭합니다. 크롬브라우저에서 진행했던 내용이 그대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서비스 사양 및 신청 내역을 확인하고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합니다.




결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서비슨 신청 완료화면이 나타납니다.




나의 호스팅 정보 확인하기


가입한 호스팅 내역을 확인하려면 아이비호스팅 홈페이지의 오르쪽 상단에 마이페이지 > 호스팅관리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호스팅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호스팅 관리 화면이 나타납니다. 상세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 보아도 만족스러운 서버 사양입니다. SSD 계정 용량은 2G로 가격대비 훌륭합니다.






또한, 월 천원 요금제인데도 최고사양에 속하는 PHP 5.6과 MySQL 5.6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을 연결하지는 않았습니다.
아이비호스팅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도메인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무료 제공 도메인명을 클릭합니다.





무료 제공도메인에 연결하니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홈디렉토리는 삭제 및 변경하지 말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