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4차 산업혁명 폭풍속으로


2016년 하노버 모터쇼에서 상용차 브랜드인 만트럭이 전시한 컨셉트카 트럭에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사이드 미러가 없다. 만트럭은 사이드 미러 대신 차량 곳곳에 카메라를 달고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 제어판을 통해서 차량의 후방이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 없이 사방을 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볼보의 경우 트럭을 여러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해서 맨 선두 차량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고 뒤를 따르는 트럭은 무인 트럭으로 스스로 차간거리를 유지하면서 달리는 군집주행(platooning) 기술을 소개하기도 했다.

[사진 출처 : 중앙일보 2016.9.23 기사]

중앙일보에 따르면 “자율주행 트럭 시대가 도래하면 하루 운전 시간을 제한할 필요없이 24시간 가동할 수 있다. 과속 사고 가능성을 낮추고 연료 효율을 높여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율주행 스마트카를 우리가 생활하는 일상의 도로에서 보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

그렇지만 당장 볼보의 군집주행 기술을 이용해서 4대의 트럭을 물류 수송에 활용한다면 과거에는 4명의 트럭 운전기사가 필요했지만 이제는 1명의 트럭 운전기사만 필요한 것이다. 나머지 3명의 트럭 운전기사는 다른 일을 찾아야 하는 상황도 오게된 것이다.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이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면 남은 1명의 일자리도 위태한 것이 사실이다.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다.


전 세계는 국가 단위로 야심차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은 로봇 신전략을 중국은 제조 2025 계획을 국가단위로 야심차게 밀어붙이고 있다. 유럽에서는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이 유명하다. 이에 뒤질새라 미국은 산업 인터넷을 진행중이다.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를 논하는 요즈음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 화두가 되었던 용어가 있다. 바로 유비쿼터스(Qbiquitous) 라는 용어이다.

 

유비쿼터스는 1988년 제록스의 마크 와이저(Mark Weiser)박사가 "앞으로의 세상은 언제 어디서든지 누구나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자유자재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시대"를 말하면서 이야기 했던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중반 한창 유비쿼터스란 용어가 유행했었다. 

당시 만해도 지금과 같이 모바일과 사물인터넷이 보편화된 기술이 아니었기 때문에 과연 그런 세상이 올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런 기술을 어떻게 구현되어 현실에 확산될 것인가가 회사에서 근무하면서 당시 궁금했던 내용 중에 하나였다.



그런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일상 생활이 된 요즈음에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어떻게 기술들이 생활에 펼쳐지고 있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란 이름으로 스마트TV, 스마트냉장고, 스마트에어컨, 스마트카 란 용어로 기술이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거부하려고 해도 거부할 수 없는 일상이 되었다. 모든 삶의 생활 저변에 4차 산업혁명의 결과물들을 도처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불운한 기업? 코닥, 미래의 변화를 읽는 힘이 필요하다


젊은 사람들에게 코닥은 들어보지못한 생소한 회사일 수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 카메라가 나오기전 시대를 살았던 세대에게 코닥이라는 회사는 아날로그를 대표하는 미국의 회사로 사진 필름과 장비를 만드는 회사였다. 코닥은 회사가 성장할 때는 직원수만 14만명이 넘었었다. 14만명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주고 1880년대 이레로 자신의 위치를 확고하게 지키고 있던 코닥은 132년뒤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에 팔린지 몇 달만에 파산 신청을 했다.

코닥은 아날로그 세상이 디지털 세상으로 넘어가는 기류를 크게 간과했다. 가령 디지털 카메라가 막 보급되기 시작한 초창기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화소수가 형편없어서 정밀한 사진을 촬영하려면 아날로그 사진기를 써야한다는 논리를 생각했다. 물론 그때는 정말 그랬다. 초창기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의 품질이 형편없었다. 그렇지만 코닥이 놓친것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 가능성과 속도였다. 디지털 카메라의 화소수와 기술력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졌고 얼마되지 않아서 캐논이나 니콘등 카메라 제조회사들은 사진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영역의 카메라도 출시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아날로그 영역에서 고급기종이라 이야기하는 SLR 카메라를 침범하는 DSLR 카메라 기종들을 하나 둘씩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아마도 그 때는 코닥도 깨닭았을 것이다. 이미 배는 기울었다고, 코닥의 아날로그 사진 관련 매출은 급감했고 코닥은 인쇄관련 사업등 몇가지만 남기고 정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만약 코닥이 디지털카메라가 태동하는 시기에라도 기존의 아날로그 사진 관련 사업을 미래를 향해서 개편했다면 적어도 파산이라는 극단의 상황을 맞이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론 코닥도 디지털 카메라를 출시하기 했었다. 그렇지만 회사의 모든 역량이 그쪽으로 집중된 것은 아니다. 역량의 많은 부분은 아날로그쪽에 향해있었기 때문이다. 미래의 변화의 방향을 잘못 판단하면 이렇게 공룡같은 기업의 배도 한 순간에 파산으로 침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기업에만 적용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개인도 마찬가지이다. 불확실한 미래에 판단 착오로 인해서 자신의 인생이라는 배도 좌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는 회사나 국가가 개인을 책임져주는 시대가 아니다 앞으로의 미래도 그러할 것이다. 국가의 복지는 증대된다고 할 지라도 개인의 미래는 자신이 책임져야한다. 

그렇다면, 우리 개인도 코닥과 같은 실수를 범하면 안될 것이다. 우리의 인생은 두 번 반복될 수 없다. 우리의 인생이란 배의 기회는 단 한번 뿐이기 때문이다.


미래, 개인의 행동패턴을 정확히 읽어내는 시대


우리가 지구상에 사는 사람들의 행동이나 소비패턴을 읽어내게 된 것은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다. 물론 과거에도 소비자 마케팅이나 여러가지 행동이론에서 사람들의 행동이나 소피패턴을 예측해서 주로 마케팅이나 전략에 이용했다.
과거 사회에서는 개개인의 행동 패턴을 정확히 읽어내는 것은 어려웠다. 그래서 예측성 이론이 인기를 끌었던 것이 사실이다.

90년대 초반 부터 시작된 인터넷 바람은 전세계적인 IT 컴퓨터나 노트북을 통해서 사람들은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은 이미 일상이 되었다. 그렇지만, 아이폰과 스마트폰의 등장은 상황을 더욱 급격하게 변화시켰다. 아이폰이나 스마트폰 하나는 각각 한 명의 개개인과 직접 연결되었고 해당 디바이스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하고 쇼핑을 하고, 이동을하는 정보는 정확한 개인의 행동 패턴의 정보였다.


이제는 개인의 행동을 예측할 필요가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실시간으로 개인의 행동 패턴 데이터는 구글등 공룡 기업의 데이터베이스에 빅데이터화 되어 차곡차곡 저장되고 있고, 구글 포토 같은 무료 클라우드 사진 서비스를 이용해서 고객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주변 상황을 촬영해서 구글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모여진 빅데이터에 인공지능 기술이 가미되면 패턴을 쉽게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실리콘밸리 최고의 IT 블로거인 로버트 스코블은 그의 저서 '컨텍스트의 시대(Age Of Context)'에서 "우리를 둘러싼 빅데이터와 수많은 센서, 그리고 언제든지 접속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와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컨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자만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여기에서는 컨텍스트의 사전적인 의미는 글의 맥락이나 전후상황이지만 이 책에서 '컨텍스트'란 단어를 쓴 의미는 어떻게 보면 패턴의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즉, 우리를 둘런싼 수많은 센서와 빅데이터,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들의 행동 패턴을 읽어내는 사람이 미래 변화의 소용돌이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의 폭발적인 증가


이런 일을 하는데 빅데이터는 제대로 한 몫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우리의 삶의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각종 신문이나 언론에서는 특정 이슈에 대해서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보도를 하고 있지만 빅데이터는 이미 2010년 말에서 2013년초 정도에도 구글에서 검색 조회수가 이전보다 29배가 증가했었다.


마크 와이저의 유비쿼터스 마법


지금은 작고한 제록스의 마크 와이저는 1988년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그 당시 유비쿼터스는 정말 개념이었다.
실물이 없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하기도 어려웠다. 그런데 마크 와이저가 죽은지 벌써 12년 유비쿼터스는 현실의 세상이 되어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요즈음에 사물인터넷으로 불리는 기술로 구현되고 있다.


 


네이키드 퓨처의 패트릭 터거는 "와이저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통해 인간이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미래를 그렸다" 라고 평했다. 일상적인 활동에서 무의식적인 수준의 컴퓨터와 상호작용이란 햇빛이 너무 밝으면 "커튼을 쳐줄까요?"라고 사물이 질문을 하고 우리는 행동을 간단하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 유통기한이 다해가는 음식이 있으면 이런 저런 음식이 있으니 빨리 드시는 것이 좋겠어요. 라고 말해줄수도 있는 것이다. 출근할 때 항상 깜빡하는 휴대전화가 있다면 옷에 부착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이렇게 이야기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휴대전화를 두고 나가시면 불편한 점이 많을꺼에요.라고 알려주기도 할 것이다.


무한대의 자원이 제공되는 시대


앞으로 머지 않은 미래인 2020년에서 2030년이면 우리가 접하는 디지털 자원은 무한대가 될 가능성이 많다. ETRI는 4차 산업혁명 보고서에서 2020년 이후에는 무한대 CPU, 무한대 메모리, 무한대 네트워크, 무한대 클라우드를 기반한 디지털 생태계가 꾸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스마트 디바이스의 세계를 마음껏 누릴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스마티즌(Smart Citizen) 100억, 2020년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5G 가입자 100억, 그리고 한 사람의 스마티즌이 평균 10대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며 1,000억개의 스마트 센서 환경의 지원을 받는 초거대 디지털 생태계가 발전하고 융성하는 시대이다."


또한 시스코는 2020년에는 500억대의 사물인터넷이 우리의 생활에 넘쳐날 것이라고 예견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디지털 자원이 무한대 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사회가 된다면 우리는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 보면 무한이 누릴 수 있는 디지털 자원과 정보는 전세계 국민의 정보 접근과 이용의 평등성을 부여할 것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아프리카 오지라고 해서 디지털 자원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오히려 아프리카 오지 현장 환경속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디지털 자원을 가지고 새로운 창조적인 일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는 늘어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