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


성공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타고난 재능이나 지식의 부족 때문에 오는 것이 아니다. 두 사람 사이의 격차는 의지의 부족의 차이이다. 누구나 성공과 꿈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꿈이 실현되는 것은 생각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꿈이 현실이 되기 위해선 행동이 있어야 한다. 생각만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 생각은 생각일 뿐이다.


미국의 여자 축구로 스타덤에 올랐던 미아 햄은 이렇게 말했다. "최고가 되는 싶다는 건 그냥 네 결심일 뿐이다. 중요한 건 매일매일 그 결심을 실천해 가는 일이다." 미아 햄은 핵심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녀는 매일 매일의 작은 일상의 삶을 훈련해갔다.
생각을 통해서 누구든지 상상의 궁전을 만들 수 있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생각을 삶에 현장에서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매일 한 걸음씩 삶의 현장에서 행동하고 나만의 발자국과 흔적을 남기자. 오늘 하루란 삶의 구획안에서 이루어진 행동 하나로 다른 사람과 큰 차이를 만들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하루의 수확이 별거 없어도 일주일이 되고 한달이 되고 일년이 되면 다른 사람이 넘볼 수 없는 차별점이 생긴다.  시간이 흐르면 그는 아무도 넘볼수 없는 사람이 된다. 이른바 넘사벽이다. 다른 사람이 절대로 넘볼 수 없는 4차원의 벽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매일의 반복이 내공을 만든다. 내가 하는 일의 패턴을 만들어 반복하자. 반복으로 습관이 된다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일을 해낼 수 있다.

작은 실패의 반복은 커다란 성공의 지름길


반복이 습관이 되면 끊임없는 실행이 내 삶에 저절로 지속된다. 끊임없는 실행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삶에 성공 확률 게이지를 매일 높인다.
경영의 구루인 톰피터슨은 끊임없는 실행을 프로토타이핑의 힘이라고 말한다. 프로토타이핑은 전산학 관련 용어이지만 프로토타입을 보면 그의 말을 이해하기 쉽다. 프로토타입의 사전적 의미는 '본격적인 상품화에 앞서 성능을 검증, 개선하기 위해 핵심 기능만 넣어 제작한 기본 모델' 이다.  프로토타입은 일종의 시제품이다. 상품화를 하기 전에 간단하게 만들어보는 제품이다. 제품이 아니라면 그것은 작은 완성된 무엇이다.


톰피터슨은 그의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에서 쾌속 프로토타이핑을 '작은 성공'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작은 성공이 모여서 커다란 성공이 된다고 역설한다.
그의 말대로라면 작은 성공 하나는 작은 시험을 통과하는 것이고 이런 작은 성공들이 모여서 커다란 성공이 된다는 것이다.

톰피터슨이 끊임없는 실행을 주장한 이유는 한 번에 거대하고 완벽한 그 무엇을 만들어내는 것보다 작지만 성공 가능한 것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것이 성공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는 톰피터슨 에센셜 '인재'에서 작은 성공은 '빠른 실패'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말한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가 에디슨은 제대로 작동하는 전구를 발명하기까지 9,000번이나 실험을 했다고 한다. 그가 실패한 8,999번의 실험을 '실패'로 보았을까? 전혀 아니다. 8,999개의 '프로토타입'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 다시 말해 완벽한 승리였다!

8,999번이나 실패할 시간이 어디 있느냐고? 충분히 일리가 있는 말이다. 하지만 에디슨의 '비밀'은 영원한 진리다. 과감히 시도하다가  무참히 깨지는 과정을 여러 번 거쳐야 결국 성공할 수 있는 법이다. 처칠은 "성공은 계속된 실패에도 열정을 잃지 않는 능력이다."라고 말했다.


계속된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는 것은 실패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에 있다. 우리는 실패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가?
에디슨은 전구 하나를 발명하기 위해서 8,999번의 실패를 거듭했다. 우리는 이 말을 깊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는 단 10번의 실패를 겪은 것이 아니었다. 심지어 100번의 실패를 겪은 것도 아니었다.

8,999번의 실패를 경험했다는 것은 '나는 실패를 부정한다'라는 뜻이고 '나는 실패를 거부한다'는 의미이다. 우리의 상황에 적용해 보자. 직장에서 열정을 가지고 일을 했지만 작은 실패가 계속 발생한다. 될꺼라고 생각한 사업이 계속 생각하지 못했던 벽에 부딪친다. 우리는 낙심한다. 인간인 이상 실패에 낙심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당당하게 실패를 거부하라! 실패는 성공의 과정이다. 그것은 기뻐할 일이다. 실패한 횟수만큼 성공에 그만큼 가까워졌기 때문이다.


계속된 큰 실패에 맞선 사람


에디슨이 실험이라는 수많은 작은 실패속에서 일어설 때 계속된 큰 실패 속에서도 용기를 내어 일어난 사람이 있다. 수십년 전 타블로이드판 신문의 '그는 누구 일까요?'라는 코너에 실린 글이다. 다음 글을 읽어보자.

15세 - 집을 잃고 길거리로 쫓겨남
23세 - 사업 실패
24세 - 주 의회 선거에서 낙선
25세 - 사업파산 (사업 파산의 빚을 갚기 위해 17년간 고생함)
26세 - 약혼자 갑작스런 사망
28세 - 신경쇠약으로 입원
30세 - 주 의회 의장직 선거에서 패배
32세 - 정부통령 선거위원 출마 패배
35세 - 하원의원 선거 낙선
36세 - 하원의원 공천 탈.
40세 - 하원의원 재선거 낙선
47세 - 상원의원 선거 낙선
48세 - 부통령 후보 지명전 낙선(100표차)
50세 - 상원의원 출마 낙선

거듭된 사업 실패와 파산을 거듭해서 그에게 재기의 가능성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바로 미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이다. 그의 실패는 에디슨처럼 작은 실패라기 보다 일어서기 힘든 큰 실패의 연속이었다.

링컨은 우리가 말하듯 금수저를 물고 세상에 나온 사람도 아니었다. 그의 아버지인 토머스 링컨은 가난한 농부였고 어머니 낸시 행크스 링컨은 미혼모의 딸이었고 둘 다 문맹이었다. 그가 거듭해서 실패를 하자 링컨의 친구들은 그를 비난하고 조롱하였다.  마치 성경에 나오는 욥의 친구들이 욥을 비난했었을 때처럼 그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는 용기를 냈다. 당당히 일어섰다.


계속된 실패에서도 포기하기를 거부했던 링컨은 52세에 미국 16대 대통령에 당선되고 노예제도 폐지를 추진하였다. 그는 게티즈버그국립묘지 설립 기념식 연설에서 유명한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는 지상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위대한 말을 남기고 미국인들 마음속에 살아있는 위대한 대통령이 되었다.

발상의 전환을 하라. 실패를 즐거워하라.
실패는 실패가 아니다.
빨리 실패할수 있다면 빨리 실패하라. 빨리 실패할수록 작은 성공이 만들어진다.
작은 성공의 합이 결국 인생의 커다란 성공을 만들어낸다.


+ Recent posts